[隨筆] 養蚕說:양잠설 ー 尹五榮:윤오영 - 번역 [飜譯]/韓日飜譯 [한일번역]
養蚕說 ー 尹五榮
とある村の農家で一晩過ごしたことがある. 月明かりがまぶしいのに何処かで雨降る音が聞こえる. 主に訊ねると隣りの部屋で蚕が草を噛む音という. 数多くの蚕が争いつつしゃきしゃきと桑葉を食う音がまるで雨降る音だ. 食慾旺盛であるがためだろう.
この時期には桑を充分に与えねばならない. 数日間食べ続けると蚕の体内に脂肪質が充実してそれが皮膚を緊張させ、艶やかな飴色を帯びるようになる. その頃から食慾が落ちるのだが、これを催眼期と呼ぶ. やがて、ついに斷食してしまう. そして糸を吐きつつ自分の体を固定させ、頭だけ起こして眠りに落ちる. これを蚕が一眠りするという. それから間もなく脫皮し頭をもたげるが、これを起蚕という. この時、蚕の体質が極度に衰えるので、特に注意して保護せねばならない.
再び桑を食べはじめる. 初蚕の時と同じだ. 同じ過程を繰り返しつつ、催眼, 脫皮, 起蚕する. これを 一齡, 二齡、または一眠り、二眠りしたいう. 五齡になると巣を作りその中に引き籠もる. この成家を繭という. これが共販場で、特等, 一等, 二等, 三等, 等外品と評価されるのだ.
私はこの話を聞きながら人間が文章を綴るのと全く同じだと思った. 誰もが一時は文学少年期を迎える。この時期には讀書熱が旺盛になり、すべてのことがきれいに頭の中へ入る. この際、より多くの本を読まねばならない. それに依って抱負は限りなく膨れ上がり、才はこよなく光を放つ. この時期には優秀な作文が綴れる.
だが、程なくして思索にこもり、懷疑に浸るのだ. 文學書の中でもさほど淸新な味を感じれなくなる. この辺で、或は現実に目覚めて、各々が自分の行方を探したりしながら哲學や宗敎の書籍に目を移す. そしてひたすら沈鬱な思索に耽る. 催眼期に足を入れるのだ. ぐっすり眠った後、頭をもたげながら古い殼を脱ぐ. 脫皮だ.
一段と高くなったのだ. 人生を探究する境地に達したわけだ. しかしながら精神的には極度な衰弱期である. 綴る作品はひたすら反抗や苦悶や忌避で身悶えしている. こんな時期を越えれず、その壁を突き抜けれず、立向かいざま壊れてしまう人が居るが、彼を「夭死した天才」と見る人もたまにはいる.
もう一度文を耽讀し始める. 二齡に入ったのだ. 何度もこの瀬戸際に立ち向かい、脫皮を繰り返しつつ自己完成に挑む. その途中で数えきれない程脱落者が出る. 最後に、自己力量のすべてを一つにして纏めつつ文の垢を落とし, 自分なりの世界に安住する. 蚕が繭を作って篭る如く成家した作家である. はじめてこの人の作品が、大小により一等品, 二等品として後世の評價対象となる.
大概人間の一生で、六十を一期とみれば、二十代が一齡期で, 三十代が二齡期, 四十代が 三齡期, 五十代が四齡期で, 六十代は五齡期にあたる. もう大きかろうが小さかろうが繭を作り自分の世界に安住せねばない時である. ついに繭から絹糸を引き出し始めるのだ. 自ら桑を食べてこなしたのだから、自ら絶え間なく鼓舞し、悩み、脫皮しつつ作った繭(境地)だからこそ糸を紡げるのだ. 七十でも九十でも、逝く日まで確固たる自分の境地で、自分の文を綴り、自分の話を述べねばならない. ここで二十代∼六十代と例えて話したのは勿論肉體的年齡を言ったのではない. 肉體的年齡に對比するのがわかり易いと思ったからだ. 優秀な文學家は生活の濃度や精力の神秘が一般を超越する. それ故、この年齢は千差萬別に短縮される.
われわれは他人の文を読んだ後、次のように論ずることがしばしばある。.
"あの人は才は優れるが, 元が薄い." 食べた桑が少ないということだ. 讀書の不足を指す言葉である.
"あの人は博識だが才能が足りない." 眠りが浅かったとのことで、思索の不足と、批判整理が出来なかったのを指す.
"あの人はたっぷり読んだことは確かだが、何かが足りない." 桑を一度だけしか食べていない. 読書期が一回に終わったということだ.
"學識や才質は充分だが、器が小さい." 四齡まで行けなかったとのことだ. "あの人は未だに文の垢を払い落とせなかったと見える.
" 五齡期を満たせなかったということだ. 自分を立たせなかったのだ.
"あの人は限りない努力家だ. 大元老だ. しかしたいしたことはなさそうだ." 病の蚕だ. 家を建てれない凹んだいが栗だ.
"あの人は大家だよ. すばらしい文章だが妙境には至らない." 繭を作れなかったとのことだ. 一家を完成させなかったのだ.
私は養蠶家から文章論を学んだ.
양잠설 ─ 윤오영
어느 촌 농가에서 하루 저녁 잔 적이 있었다. 달은 훤히 밝은데, 어디서 비오는 소리가 들린다. 주인더러 물었더니 옆방에서 누에가 풀 먹는 소리였었다. 여러 누에가 어석어석 다투어서 뽕잎 먹는 소리가 마치 비오는 소리 같았다.
식욕이 왕성한 까닭이었다. 이 때 뽕을 충분히 공급해 주어야 한다. 며칠을 먹고 나면 누에 체내에 지방질이 충만해서 피부가 긴장되고 윤택하며 엿빛을 띠게 된다. 그 때부터 식욕이 감퇴된다. 이것을 최안기(催眼期)라고 한다. 그러다가 아주 단식을 해 버린다. 그러고는 실을 토해서 제 몸을 고정시키고 고개만 들고 잔다. 이것을 누에가 한 잠을 잔다고 한다.
얼마 후에 탈피를 하여 고개를 든다. 이것을 기잠(起蠶)이라고 한다. 이 때의 누에의 체질은 극도로 쇠약해서 보호에 특별히 주의를 해야 한다. 다시 뽕을 먹기 시작한다. 초잠 때와 같다. 똑같은 과정을 되풀이해서 최안, 탈피, 기잠이 된다. 이것을 일령, 이령 혹은 한 잠 두 잠 잤다고 한다. 오령이 되면 집을 짓고 집 속에 들어앉는다. 성가된 것을 고치라고 한다. 이것이 공판장에 가서 특등, 일등, 이등, 삼등, 등외품으로 평가된다.
나는 이 말을 듣고서 사람이 글을 쓰는 것과 똑같다고 생각했다. 누구나 한 때는 문학소년시절을 거친다. 이 때에 독서열이 왕성하다. 모든 것이 청신하게 머리 속에 들어온다. 이때 독서를 많이 해야 한다. 그의 포부는 부풀대로 부풀고 재주는 빛날대로 빛난다. 이때 우수한 작문들을 쓴다.
그러다 얼마 안 가서 그는 사색에 잠기고 회의에 잠긴다. 문학 서적에서조차 그렇게 청신한 맛을 느끼지 못한다. 여기서 혹은 현실에 눈떠서 제 각각 제 길을 찾아가기도 하고 철학이나 종교 서적들을 읽기 시작한다. 그리고 오직 침울한 사색에 잠긴다. 최안기에 들어선 것이다. 한잠 자고 나서 고개를 들 때 구각(舊殼)을 벗는다. 탈피다. 한 단계 높아진 것이다. 인생을 탐구하는 경지에 이른다. 그러나 정신적으론 극도의 쇠약기다. 그의 작품은 오직 반항과 고민과 기피에 몸부림친다. 이 때를 넘기지 못하고 그 벽을 뚫지 못하고 대결하다 부서진 사람들이 있다. 혹은 그를 요사(夭死)한 천재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다시 글을 탐독하기 시작한다. 이령(二齡)에 들어선 것이다. 몇 번이고 이 고비를 거듭한 속에 탈피에 탈피를 거듭하며 자기를 완성해 간다. 그 도중에는 무수한 탈락자들이 생긴다. 최후에, 자기의 모든 역량을 뭉치고, 글 때를 벗고, 자기대로의 세계에 안주한다. 누에가 고치를 짓고 들어앉듯 성가(成家)한 작가다. 비로소 그의 작품이 그 대소에 따라 일등품, 이등품으로 후세에 평가의 대상이 된다.
대개 사람의 일생을, 육십을 일기(一期)로 한다면 이십대가 일령기요, 삼십대가 이령기요, 사십대가 삼령기요, 오십대가 사령기요, 육십대가 이미 오령기다. 이제는 크든 작든 고치를 짓고 자기 세계에 안주할 때다. 이 때에 비로소 고치에서 명주실은 풀리기 시작한다. 자기가 뽕을 먹고 삭이니 만큼 자기가 부단히 고무되고 고초하고 탈피해 가며 지어 논 고치(境地)만큼, 실을 뽑는 것이다. 칠십이든 구십이든 가는 날까지 확고한 자기의 경지에서 자기의 글을 쓰고 자기의 말을 하다가 가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이십대 ∼ 육십대로 예를 들어 말한 것은 육체적 연령을 말한 것은 물론 아니다. 육체적인 연령에 대비해 보는 것이 알기 쉽기 때문이다. 우수한 문학가는 생활의 농도와 정력의 신비가 일반을 초월한다. 그런 까닭에 이 연령은 천차만별로 단축된다.
우리는 남의 글을 읽으며 다음과 같이 논평하는 수가 가끔 있다.
"그 사람은 재주는 비상한데, 밑천이 없어서." 뽕을 덜 먹었다는 말이다. 독서의 부족을 말함이다.
"그 사람 아는 것은 많은데 재주가 모자라." 잠을 덜 잤다는 말이다. 사색의 부족과 비판 정리가 안 된 것을 말한다.
"그 사람 읽기는 많이 읽었는데, 어딘가 부족해." 뽕을 한번만 먹었다는 말이다. 독서기가 일회에 그쳤다는 이야기다.
"학식과 재질이 다 충분한데 그릇이 작아." 사령까지 가지 못했다는 말이다.
"그 사람 아직 글 때를 못 벗은 것 같아." 오령기를 못 채웠다는 말이다. 자기를 세우지 못한 것이다.
"그 사람 참 꾸준한 노력이야. 대 원로지. 그런데 별 수 없을 것 같아." 병든 누에다. 집 못 짓는 쭈구렁 밤송이다.
"그 사람이야 大家지. 훌륭한 문장인데 경지가 높지 못해." 고치를 못 지었다는 말이다. 一家를 완성하지 못한 것이다.
나는 양잠가에게서 문장론을 배웠다.
'번역 [飜譯] > 韓日飜譯 [한일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say] 生の光沢 - 李御寧 (0) | 2015.06.07 |
---|---|
[poem]물안개-류시화, 꿈-황인숙, 사람-이생진 (1) | 2015.05.24 |
[poem] 첫사랑:初恋 도라지꽃:桔梗 (0) | 2015.05.05 |
[poem] 夜の雨:밤비, 野道に佇み:들길에서, 波:파도 (2) | 2015.04.14 |
[poem] 윤보영님의 시 두편 (0) | 201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