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隨筆] 春-皮千得 봄-피천득 - 번역 [飜譯]/韓日飜譯 [한일번역]
春
皮千得
“人生は空っぽの杯. 絨毯の敷かれていない階段. 4月は阿呆のようにぶつぶつしつつ、花を咲かせながらやって来る ” こんな詩を綴った詩人がいる.
“四月は無惨な月”と詠った詩人もいる. 彼らは贅沢な人たちだ。私のような凡俗人は
春を待ち侘びる.
春が訪れば、厚く重い服を脱ぎ捨てるだけでも体と心が軽くなる.
皺くちゃ顔をして、暖かい陽射の中で微笑みながら空を見上げると舞い上がりそうになる.
春が来る時期になると若さが戻ってくるような感じがする.
私は、音楽を聞く時、画や彫刻を覗いてみる時など、失われた若さを霧の中で
かいま見ることがある. 文學をなりわいとする私の喜びの一つは、文章を通じて遠い青春の
足跡だけでも眺めれることである。だが何よりもまず若さを取り戻すような気を
持たせるのは春だ。
失った若さを暫しながら遇ってみるのは、別れた愛人と遇うよりうれしいことだ。
別れた人は太ったか痩せこけたか二つに一つ、男だったら古いウールジャケットのように
ぐにゃりと垂れているか、それとも満面朱色で、眼が濁っているだろう。
若さは常に変ること無く美しい。去りし日の愛人からは幻滅を感じても、失った
若さからはだれもが切ない未練を抱く。
歳を重ねると若い頃のあせりや苛立ち、悩みなどから解脫、心が安定すると言う。
この'心の安定'とは、無気力から来るすべての物事に対して無関心をよそおう言葉だ。
鈍くなった知性や感受性に対する悲しい労りの言葉だ。老いてはプラトンも案山子に
なるのだ。どれほど優れた智慧も若さには勝てない。
'人生は40から'という言葉は、人生は40までという言葉だ。他のことは
知らないけれども、私が読んだ小説の主人公は93パーセントが40未満の人物だった。
それ故40才からは余生であろう。40年だと人生は短い。しかし考えを変えればさほど
短くもなさそうだ。
"蝶先立たせて春が来る来る"と歌う子供たちの蝶は昨年現れた蝶ではない。
南に行ったつばめがまた戻ってくると言うが、そのつばめの中でどれぐらいが
戻って来られるだろう。
キーツが聞いたナイチンゲールは、4千年前にカトゥルスが異域のトウモロコシ畑で
涙を流しつつ聞いた鳥ではない。彼が若かったからこそ、不死鳥という華やかな言葉を
使ってみただけだ。蝶やナイチンゲールの生命より人生は何倍も長い。
タンポポやスミレが咲き、躑躅、連翹が咲き、桃の花、杏子の花、またライラック
マスクローズが次々と咲く春、このような春を40回も享受することは些細な祝福では
ない。しかも春が40を越した人にも訪れるというのは実にしあわせなことである
錆びた心臓でも血がほとばしるのを感ずる。欲しいものを買えない人にもきらびやかな
ショーウィンドーは喜びを与えてくれる如く、私はたとえ青春を失ったとしても
ビザンチン王宮に幽閉されている金の鳥を羨ましがりはしない。
ああ、春が来ている。瞬く度に近づく春!
봄
피천득
“인생은 빈 술잔. 주단 깔지 않은 층계. 사월은 천치와 같이 중얼거리고 꽃 뿌리며
온다 ” 이러한 시를 쓴 시인이 있다. “사월은 가장 잔인한 달” 이렇게 읊은 시인도 있다.
이들은 사치스런 사람들이다 나같이 범속한 사람은 봄을 기다린다.
봄이 오면 무겁고 두꺼운 옷을 벗어 버리는 것만 해도 몸과 마음이 가벼워진다.
주름살 잡힌 얼굴이 따스한 햇빛 속에 미소를 띠우고 하늘을 바라다보면 날아 갈 수
있을 것만 같다. 봄이 올 때면 젊음이 다시 오는 것 같다.
나는 음악을 들을 때 그림이나 조각을 들여다 볼 때 잃어버린 젊음을 안개 속에
잠깐 만나는 일이 있다. 문학을 업으로 하는 나의 기쁨의 하나는 글을 통하여 먼 발자취라도
젊음을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젊음을 다시 가져 보게 하는 것은 봄이다.
잃었던 젊음을 잠깐이라도 만나 본다는 것은 헤어졌던 애인을 만나는 것보다
기쁜 일이다. 헤어진 애인이 뚱뚱해졌거나 말라 바스러졌거나 둘 중이요 남자라면
낡은 털 자켓같이 축 늘어졌거나 그렇지 않으면 얼굴이 시뻘게지고, 눈빛이
혼탁해졌을 것이다. 젊음은 언제나 한결같이 아름답다 지나간 날의 애인에게 서는
환멸을 느껴도 누구나 잃어버린 젊음에게서는 안타까운 미련을 갖는다.
나이를 먹으면 젊었을 때의 초조와 번뇌를 해탈하고 마음이 가라앉는다고 한다.
이 ‘마음의 안정’이라는 것은 무기력으로 부터 오는 모든 사물에 대한 무관심을
말하는 것이다.
무디어진 지성과 둔해진 감수성에 대한 슬픈 위안의 말이다. 늙으며 플라톤도
허수아비가 되는 것이다. 아무리 높은 지혜 도 젊음만은 못하다.
‘인생은 40부터’라는 말은 인생은 40까지 라는 말이다. 다른 것은 몰라도 내가 읽은
소설의 주인공들은 93%가 사십 미만의 인물들이다. 그러니 사십부터는 여생인가 한다.
40년이라 면 인생은 짧다. 그러나 생각을 다시하면 그리 짧은 편도 아니다.
“나비 앞장세우고 봄이 봄이 와요” 하고 부르는 아이들의 나비는 작년에 왔던
나비는 아니다. 강남 갔던 제비가 다시 돌아온다지만 그 제비는 몇 놈이나
다시 올 수 있을까?
키츠가 들은 나이팅게일은 4천 년 전 루스가 이역 강냉이 밭 속에서 눈물 흘리며
듣던 새는 아니다. 그가 젊었기 때문에 불사조라는 화려한 말을 써 본 것이다.
나비나 나이팅게일의 생명보다는 인생은 몇 갑절이 길다.
민들레나 바이올렛이 피고 진달래 개나리가 피고 복숭아꽃 살구꽃 그리고 라일락
사향장미가 연달아 피는 봄. 이러한 봄을 40번이나 누린다는 것은 적은 축복은 아니다.
더구나 봄이 40이 넘은 사람에게도 온다는 것은 참으로 다행한 것이다.
녹슬은 심장도 피가 용솟음치는 것을 느끼게 된다. 물건을 못 사는 사람에게도
찬란한 쇼윈도우는 기쁨을 주나니, 나는 비록 청춘을 잃어버렸다 하여도 비잔틴
왕궁에 유폐되어 있는 금으로 만든 새를 부러워하지는 않는다.
아아 봄이 오고 있다. 순간마다 가까워 오는 봄!
'번역 [飜譯] > 韓日飜譯 [한일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em] 천년의 바람, 밤의 시 (2) | 2014.05.22 |
---|---|
[poem] 달月-김용택金龍澤, 벚꽃桜-이외수李外秀 (0) | 2014.04.13 |
[poem] 김춘수의 春B, 리듬, 모른다고 한다 (0) | 2014.03.18 |
[poem] 다시 오는 봄-도종환 : 봄 C-김춘수 (0) | 2014.02.28 |
[poem] 봄 맞이 시 두편입니다 (0) | 2014.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