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士濯足圖 고사탁족도 - 민속문양 [民俗紋樣]
高士濯足圖 - 李慶胤寫
高士濯足圖とはソンビ(在野の学者)が 水に足を浸している様子を描いたものを
指すが, かような濯足行為はただ汚れた足を洗うためではなく, 古代から伝える
ソンビの 理想や尙古主義精神がこもっており, なお生きる知慧が含まれている.
濯足を素材にした絵は中国の宋時代から登場しており. わが国では朝鮮中期
以後から少しづつ描かれ始めた.
〈濯足圖〉の畵本になったと思われる絵が、淸代に刊行された《芥子園畵譜》の
'人物屋宇'條に收錄されている. 漁夫姿の人物が笠をかぶり磐に腰掛けて
足を組んだまま水に足を浸している様子が描かれており,‘江湖滿地一漁翁’という
說明文が付いている.
李慶胤の〈濯足圖〉の主人公も畵本の人物と類似な姿勢を取っているが.
このような濯足の姿勢はほぼ定形化された絵として現れているが, かように
定形化された姿を踏襲して描くのは東洋畵ではまったく自然な現象といえる.
-----
고사탁족도는 선비가 물에 발을 담그고 있는 모습을 그린 그림을 말하는데,
이러한 탁족 행위는 단순히 더러워진 발을 씻기 위한 것이 아니라, 거기에는
예로부터 내려오던 선비들의 이상과 상고주의 정신이 깃들이어 있고,
세상을 살아가는 지혜가 담겨 있다.
‘탁족’을 소재로 한 그림은 중국 송(宋) 무렵부터 등장하였고. 우리 나라에서는
조선 중기 이후부터 조금씩 그려졌다.
〈탁족도〉의 화본이 되었을 것으로 여겨지는 그림이 청(淸)대에 간행된
《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의 인물옥우(人物屋宇) 조에 수록되어 있다.
어부 모습을 한 사람이 삿갓을 쓰고 바위에 걸터앉아 두 다리를 꼰 채
물에 발을 담그고 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고,
‘강호만지일어옹(江湖滿地一漁翁)’ 이라는 설명문이 붙어 있다.
이경윤의 〈탁족도〉의 주인공도 이 화본의 인물과 유사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탁족의 자세는 거의 정형화되어 그림에 나타나고 있는데, 이처럼
정형화된 모습을 답습하여 그리는 것은 동양화에서는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디지털한국학 참고>
'민속문양 [民俗紋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國寶20號 : 佛國寺多寶塔 불국사다보탑 (0) | 2008.02.08 |
---|---|
國寶19號: 浮石寺祖師堂 부석사조사당 (0) | 2007.12.26 |
國寶18號:: 浮石寺無量壽殿 부석사무량수전 (0) | 2007.08.11 |
國寶17號: 浮石寺無量壽殿石燈 부석사무량수전앞석등 (0) | 2007.07.22 |
國寶16號: 安東新世洞七層塼塔 안동신세동7층석탑 (0) | 2007.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