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寶16號: 安東新世洞七層塼塔 안동신세동7층석탑   -   민속문양 [民俗紋樣]

          


國寶16號:  安東新世洞七層塼塔
所在地: 慶北 安東市 法興洞 8-1
時   代:  統一新羅時代

塼塔とは土で作った煉瓦を利用して積み重ねた塔を指す.
法興洞に立てられたこの塔は統一新羅時代に創建された法興寺に屬してたものと推定して
いるが, 塔の周辺に民家や鐵道が入り、確かめることが不可能な状態である.
塔は、1段の基壇の上に7層の塔身を積み上げた形をなしている.
模様のない濃灰色煉瓦で積み上げられた塔身の1段の身石に龕室を作り, 屋根は、上面に
残っている痕迹に鑑み, 上下共に階段のような層段からなる一般的な塼塔樣式とは違い、
瓦を載せたものと推定している.  
基壇の各面には彫刻した花崗巖の八部衆像と四天王像を立て, 基壇の南側に1階の龕室に
向けて階段を設置した.

基壇の上面をセメントで塗りつぶしたのが残念でならないが,この塔は7層にもなる高い
層數で, 高さ17メートル, 基壇幅7.75メートルの巨大ば塔であるにも拘わらず、ひじょうに
安定した形を維持しており, 國內に残っている塼塔の中で最も大きく、また古いものに
屬するということで重要な意味を持つ.
尚、屋根に瓦を被せた痕迹からみて、木塔を模倣して塼塔が創られたということを
立證する重要な資料と平價されている.

전탑(塼塔)이란 흙으로 만든 벽돌을 이용하여 쌓아 올린 탑을 말한다.
법흥동에 세워져 있는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법흥사에 속해있던 탑으로 추정되나,
탑 주위로 민가와 철도가 들어서 있어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
탑은 1단의 기단(基壇)위로 7층의 탑신(塔身)을 쌓아올린 형태이다.
진한 회색의 무늬없는 벽돌로 쌓아 올린 탑신은 1층 몸돌에 감실을 마련하였고, 지붕은
윗면에 남아 있는 흔적으로 보아, 위아래 모두 계단모양의 층단을 이루는 일반적인
전탑양식과는 달리 기와를 얹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기단의 각 면에는 화강암으로 조각된 8부중상(八部衆像)과 사천왕상(四天王像)을 세워
놓았고, 기단 남쪽 면에는 계단을 설치하여 1층 몸돌에 만들어진 감실(龕室: 불상을
모시는 방)을 향하도록 하였다.

기단의 윗면을 시멘트로 발라 놓아 아쉬움을 남기고는 있으나, 이 탑은 7층이나 되는
높은 층수에 높이 17m, 기단너비 7.75m의 거대한 탑임에도 매우 안정된 자태를 유지
하고 있으며, 국내에 남아있는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에 속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지붕에 기와를 얹었던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목탑을 모방하여
전탑이 만들어졌다는 것을 입증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