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寶14號 : 銀海寺居祖庵靈山殿 은해사거조암영산전 - 민속문양 [民俗紋樣]
國寶14號 : 銀海寺居祖庵靈山殿
所在地 慶北永川市 淸通面 銀海寺居祖庵
時 代 朝鮮時代初期
居祖庵は、當初は居祖寺という名で、銀海寺より前に新羅孝成王2年(738年),又は
景德王(742∼764)時代に創建されたものとつたえられる.
銀海寺と居祖庵との繋がりは定かでないが, 近來になって銀海寺を本寺とし、 居祖寺を
末寺に編入され、居祖庵と呼ばれるようになったようだ.
靈山殿は、解體補修の際發見された墨書銘に依ると、高麗禑王元年(1375)に建立され、
数回に渡り重修されたと見られる.
素朴で簡潔な柱心包系形式を取った前·後退間五樑構造の切妻屋根からなり
控包, 樑の斷面, 八字臺工, 包臺工等一部は古式だが, 一般的彫刻手法に鑑み
朝鮮初期に重修するなかで多くの部分が變形されたとうかがえる.
內部には釋迦牟尼佛像とともに526具の石造羅漢像を奉っている.
靈山殿前の三層石塔は統一新羅末期に制作されたものと推定される。
소재지 경북 영천시 청통면 신원리 622 은해사 거조암
시 대 조선시대 초기
거조암은 당초 거조사(居祖寺)라 불렸으며, 은해사 앞서 창건되었는데,
신라 효성왕(孝成王) 2년(738) 또는 경덕왕(景德王)(742∼764) 때 세워졌다고 한다.
은해사와 거조사와의 관계는 확실히 알 수 없으나, 근래에 와서 은해사를 본사로 하고
거조사는 그 말사로 편입되어 거조암이라 불리게 된 것으로 보인다.
영산전은 해체 보수시에 발견된 묵서명에 의하면 고려 우왕 원년(1375)에 건립되었으며
여러 차례 중수된 것으로 본다.
소박하고 간결한 주심포계 형식을 취하고 있는 전·후퇴칸 5량구조의 맞배집으로
공포, 보(樑)의 단면, 솟을합장, 포대공 등에서 일부 고식(古式)을 볼 수 있으나,
일반적인 조각수법으로 보아 조선 초기에 중수하면서 많은 부분이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내부에는 석가모니불상과 526분의 석조나한상을 모시고 있다.
영산전 앞에 있는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말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민속문양 [民俗紋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度寺靈山殿八相圖 - 통도사 영산전팔상도 (0) | 2007.05.11 |
---|---|
國寶第15號 : 鳳停寺極樂殿 봉정사극락전 (0) | 2007.03.31 |
國寶13號 : 無爲寺極樂殿 - 무위사 극락전 (0) | 2007.02.06 |
金正喜の[歲寒圖] 김정희의 [세한도] (0) | 2007.01.14 |
國寶12號 : 華嚴寺覺皇殿前石燈 -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0) | 2006.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