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寶18號:: 浮石寺無量壽殿 부석사무량수전 - 민속문양 [民俗紋樣]
國寶第18號:: 浮石寺無量壽殿
所在地: 慶北榮州市浮石面浮石寺
時代: 高麗時代中期
鳳凰山中腹に構えている浮石寺は、新羅文武王16年(西紀676年)義湘大師が
王命を承り華嚴の教義をひろげていた所である。「三國遺事」の說話によると,
義湘大師が唐國留學を終え歸國する時、彼を慕っていた女人善妙が龍に変貌して
追って來、義湘大師を保護しつつ寺の建立に手助けしたと言われる. 尚この地に
隠れていた盜賊群を磐に姿を変えて追い払った後、無量壽殿の後に落着したと
伝える. それを裏付けるように無量壽殿の後側には ‘浮石’と刻まれた磐がある.
無量壽殿は浮石寺の中心建物で、極樂淨土を象徵する阿彌陀如來佛像が安置されている.
新羅文武王(在位661∼681)時代に建てられ、高麗玄宗(在位1009∼1031)の頃
補修したが、恭愍王7年(1358)に燃燒した. 今の建物は高麗禑王2年(1376)に建替え、
光海君時代あらたに丹靑したもので, 1916年解體·修理された.
規模は全面5間·側面3間からなり、屋根は側面が八字模様の八作屋根で、
軒を支えるために簡潔な形の粧飾構造を柱の上にだけ組み上げた柱心包樣式である.
後世建物でよく見られる裝飾的要所が少なく, 柱心包樣式の基本手法を
最もよく保っている代表的建物として高く評價されている.
他の佛殿とは異なり、佛殿の側面に佛像を奉っているのが特徵.
無量壽殿はわが國に残っている木造建物の中で、鳳停寺極樂殿(國寶第15號)と共に
たいへん古い建物として古代寺刹建築の構造硏究に重宝がられている。
국보제18호: 부석사무량수전 (浮石寺無量壽殿)
소재지: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시대: 고려시대 중기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에 따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라와서 줄곧 의상대사를 보호하면서 절을 지을 수 있게 도왔다고 한다.
이곳에 숨어 있던 도적떼를 선묘가 바위로 변해 날려 물리친 후 무량수전 뒤에
내려 앉았다고 전한다. 그래서인지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다.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중심건물로서 극락정토를 상징하는 아미타여래불상을 모시고
있다.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짓고 고려 현종(재위 1009∼1031) 때
보수하였는데 공민왕 7년(1358)에 연소되었다. 지금 있는 건물은 고려 우왕 2년
(1376)에 다시 짓고 광해군 때 새로 단청한 것으로, 1916년에 해체·수리 공사를
하였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으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되어있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를 간결한 형태로 기둥 위에만
짜올린 주심포 양식이다. 특히 세부 수법이 후세의 건물에서 볼 수 있는 장식적인
요소가 별로 없어, 주심포 양식의 기본 수법을 가장 잘 남기고 있는 대표적인
건물로 평가 받고 있다. 건물 안에는 다른 불전과 달리 불전의 옆면에 불상을
모시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무량수전은 우리 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봉정사 극락전(국보 제15호)과
더불어 오래된 건물로서 고대 사찰건축의 구조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건물이 되고 있다
'민속문양 [民俗紋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國寶19號: 浮石寺祖師堂 부석사조사당 (0) | 2007.12.26 |
---|---|
高士濯足圖 고사탁족도 (0) | 2007.08.27 |
國寶17號: 浮石寺無量壽殿石燈 부석사무량수전앞석등 (0) | 2007.07.22 |
國寶16號: 安東新世洞七層塼塔 안동신세동7층석탑 (0) | 2007.06.24 |
通度寺靈山殿八相圖 - 통도사 영산전팔상도 (0) | 2007.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