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寶17號: 浮石寺無量壽殿石燈 부석사무량수전앞석등   -   민속문양 [民俗紋樣]

                     
                         

國寶17號: 浮石寺無量壽殿石燈
位置 :  慶北榮州市浮石面浮石寺內
時代 : 統一新羅

浮石寺無量壽殿の前にたてられた統一新羅時代の石燈で, 仏の光明を象徵する
とのことで, 光明燈とも称される。このような石塔は大槪大雄殿とか塔の如く
重大な建築物のまえにたてられる.
灯を点す火舍石を中心として, 下には3段の支石を置き, 上部に屋根石を被せ、
てっぺんに頭粧飾をして仕上げる.
4角の床石には側面に模様を施し, その上に置いた蓮の花を彫刻した下敷石が柱を
支えている. 典型的な8角柱の形を成しており、太さや高さの比率がすばらしい。
上には蓮模様を彫刻した支え石が置かれている.
8角の火舍石には灯が四方に広がるように4個の窓を開け, 残りの4面には素敵な
菩薩像が刻まれている.
屋根石も同様に8角を成しているが, 角の先が軽く持ち上げられており輕快に見える.
頂上には頭粧飾をのせた支え石だけが残っている.

統一新羅時代を代表する最も美しい石燈で, 比例の調和が優れており, 華麗ながらも
端雅なシルエットを保っている. 特に, 火舍石の4面に施されている菩薩像彫刻の
精巧さがこの石燈を一層際立たせる.

국보17호:  부석사무량수전앞석등
위치: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시대:  통일신라  

부석사 무량수전 앞에 세워져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인데, 부처의 광명을 상징한다
하여 광명등이라고도 하며, 대개 대웅전이나 탑과 같은 중요한 건축물 앞에 세운다.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는 3단의 받침돌을 두고, 위에 지붕돌을
올린 후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다.
4각 바닥돌은 옆면에 무늬를 새겨 넣었고, 그 위에 놓인 큼직한 연꽃 조각을 한 아래
받침돌은 중심 기둥을 받치고 있다. 전형적인 8각 기둥형태로 되어있어 굵기나 높이가
아름다운 비례를 보이고 있는데, 위에는 연꽃무늬를 조각한 윗받침돌이 얹혀있다.
8각의 화사석에는 불빛이사방으로 퍼져 나오도록 4개의 창이 나있고, 나머지 4면에는
세련된 모습의 보살상을 새겨놓았다.
지붕돌도 역시 8각으로, 모서리 끝이 가볍게 들려있어 경쾌해 보인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얹었던 받침돌만이 남아있다.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아름다운 석등으로, 비례의 조화가 아름답고,
화려하면서도 단아한 멋을 지니고 있다. 특히, 화사석 4면에 새겨진 보살상 조각의
정교함은 이 석등을 한층 돋보이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