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日報 : 2018年6月28日 - 일반상식 [一般常識]
[社說] 奇蹟のような独逸戦との勝利, 韓国サッカー改めて始めよう
2018年ロシアワールドカップの韓国·独逸戦を前にして韓国の2-0勝利より却って独逸の7-0 勝利可能性がより大きいと海外バッティング業界の評價があった. それほど2014年のブラジルワールドカップで開催国ブラジルを7:1で, 2002年の韓·日ワールドカップでサウジアラビアを8:0で敗北させた独逸サッカーは恐怖の対象だった. 半面スウェーデン、メキシコ戦で不振だった韓国守備陣は、極めて激しい非難與論の中では「メンタル崩壞」の狀態にまでなったのだ. それがいざ蓋を開けると憂慮が取り越し苦労と判明された.
韓国選手等は世界最强独逸のシュートを肉彈で塞いだ. 不振に対する自責の念と、ファン達の非難が選手等を必死になって走るようにさせたのだ. 自信感が落ちて出戰を抛棄する考えまで持っていた張ひょんす選手は「君のために負けたのでは無い」といった同僚達の慰めに心を引き締めた. 金容国(?)選手もまた、「ワールドカップ準備4年の間辛すぎたけれども, この瞬間の為耐え抜いたのだ」と言いつつグラウンドを走り回った. 奇蹟的な勝利を得た選手等は此所までの気苦労を涙で吐き出した. 国家代表との重い荷を背負った選手達へ投げたつぶてが限りない恥じになる. 世界最强独逸を脫落させたのは世界蹴球の流れを取り替えた歴史的事件と言えよう.
だが、韓国蹴球の根本的問題が選手等のラスト火花鬪魂の後方へひそかに越えてしまうか心配だ. 2002年の4强と、2010年には16强に進出した韓国蹴球は、2014年のブラジルに続いて今度のロシアワールドカップまで二回連続組別リーグより脫落した. 「韓国サッカーの失敗」と規定されるだろう. スウェーデンもまたメキシコ戰で敗北にやられた如く、失敗した体力管理, 生半可な戰術実験等、指導者の経験附属が明らかになった. 今後は世界サッカーの流れに合う外国人の名將級指導者を迎入すべきだ.
韓国サッカーはすでに根から揺れていた. 蹴球の根幹と言えるKリーグは、チャイナモニで武装した中国リーグと、先進システムを構築した日本リーグに押されている. 有能な選手等が次々と抜けてしまい, リーグの人気は底を這い廻っている. 2011年1000億ウオンを越えた大韓蹴球協會の予算は700億~900億ウオン代に墜落した. 在任中2000億~3000億ウオン台に予算を伸ばすと言った鄭夢圭大韓蹴球協會長の約束は空手形になった. 全国のワールドカップ熱気で確認出来るように、蹴球は協會長の物でも蹴球人の物でも無い. 蹴球を応援する市民達の物だ. 新たな場を組んで出発しなければ韓国蹴球は四年後のカタル・ワールドカップの本選進出も断言出来ない.
[사설]기적 같은 독일전 승리, 한국축구 다시 시작하자
2018년 러시아 월드컵 한국·독일전을 앞두고 한국의 2-0 승보다 오히려 독일의 7-0 승 가능성이 더 크다는 해외베팅업체의 평가가 있었다. 그만큼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 개최국 브라질을 7-1로,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8-0으로 패배시킨 독일 축구는 공포의 대상이었다. 반면 스웨덴·멕시코전에서 부진했던 한국 수비진은 극심한 비난여론 속에 ‘멘털 붕괴’ 상태까지 이어졌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열자 우려는 기우로 판명됐다.
한국 선수들은 세계최강 독일의 슛을 육탄으로 막아냈다. 부진에 대한 자책감과 팬들의 비난이 선수를 ‘죽기 살기’로 뛰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자신감이 떨어져 출전을 포기할 생각까지 품었던 장현수 선수는 “너 때문에 진 게 아니다”라는 동료들의 다독거림에 마음을 다잡았다. 김영권 선수 역시 “월드컵 준비 4년 동안 너무 힘들었지만 이 순간을 위해 견뎠다”며 그라운드를 누볐다. 기적적인 승리를 거둔 선수들은 그간의 마음고생을 눈물로 쏟아냈다. 국가대표의 무거운 짐을 진 선수들에게 던졌던 돌팔매가 한없이 부끄러워진다. 세계최강 독일을 탈락시킨 것은 세계축구의 흐름을 바꿔놓은 역사적 사건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축구의 근본 문제가 선수들의 막판 불꽃투혼 뒤에 숨어 은근슬쩍 넘어갈까 우려된다. 2002년 4강과 2010년 16강에 진출한 한국축구는 2014년 브라질에 이어 이번 러시아 월드컵까지 2회 연속으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한국축구의 실패’라 규정할 수 있다. 스웨덴·멕시코전 패배에서 봤듯이 실패한 체력관리, 섣부른 전술실험 등 지도자의 경험 부족이 도드라졌다. 이제는 세계축구의 흐름에 맞는 외국인 명장급 지도자를 영입해야 한다.
한국축구는 이미 뿌리째 흔들렸다. 축구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K리그는 차이나머니로 무장한 중국리그와 선진시스템을 구축한 일본리그에 밀리고 있다. 유능한 선수들이 줄줄이 빠져나가 리그의 인기는 바닥을 기고 있다. 2011년 1000억원을 넘은 대한축구협회 예산은 700억~900억원대로 추락했다. 재임 중 2000억~3000억원대로 예산을 늘린다던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의 약속은 공수표가 되었다. 전국의 월드컵 열기에서 확인하듯 축구는 협회장의 것도, 축구인의 것도 아니다. 축구를 응원하는 시민들의 것이다. 새판을 짜서 출발하지 않으면 한국축구는 4년 후 카타르 월드컵 본선 진출도 장담할 수 없다.
'일반상식 [一般常識]'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京鄕新聞 社說 : 2018年8月1日 (0) | 2018.08.02 |
---|---|
요미우리신문 2018년7월10일 (0) | 2018.07.10 |
[社説] 毎日新聞 : 2018년6월12일 (0) | 2018.06.12 |
[여록(余録)] 마이니치신문(2018년5월4일) (3) | 2018.05.06 |
[社說] 金正恩の南側公演観覧, 交流活性化の契機に (0) | 2018.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