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傘寿の母と化粧品:팔순 어머니와 화장품] 鄭木日정목일 - 번역 [飜譯]/韓日飜譯 [한일번역]
「父母の日」、人々が父母の胸にカーネーションの花をつけてあげるのを眺めながら
あんなものつけてあげるのに何の意味があるのだろう、と考えたりしたものだ.
十七歳で父親を亡くし、母親だけのもとで育った私は、人々が毎年儀式のように花をつけて
あげるのを恥ずかしく思い、自分の手で母へカーネーションをつけてあげたことがなかった。
息子や娘に言いつけてお祖母さんにつけてあげるようにした。
母が亡くなった今は父母の日が訪れる度にもうカーネーションをつけてあげる人がこの
世には居ないということが虚しく涙ぐましいばかりだ。父母が生きている間親孝行を
せねばならぬものを、亡くなった後で嘆いてもはじまらない。父母の日に花一輪をつけて
あげる形式的で平凡な仕種がどれほど貴重で幸せな行為なのかを母が亡くなった後で
知ったのが無念でならない。
母が亡くなる二年ほど前のことだが、ある土曜日いつもより早く家に帰る途中でばったり
老母に出会った。母はアパート団地内の老人堂へ向かう途中らしく、私を見てすごく
うれしそうだった。
家の外で母と二人きり出会ったのは稀なことだったのだ。私は84才の母の手を取り
最寄りのデパートへ向かった。
5~6才の頃のある晴れた春日、母の手をつかんで公園へ花見に行った記憶が甦った。
ひらひら舞う蝶のようにスキップしながら見回る間、芳しい花の香りが母の化粧品の匂いと
混じって漂った。ああ、歳月は流れ5~6才の息子はいつの間に50代になり、美しかった
母は皺の寄った傘寿の老女、この先何年生延びるか予想もつかない。
私は再び昔の5~6才の息子に舞い戻り口笛を吹きながらぴょんぴょん跳ねて散歩するような
気分に落ちる。母も気持良さそうに私を見ながら微笑んでいた。
'何処へ行くの?'母がいぶかしげに聞いた。
'母さん、欲しいもの全部言ってごらんなさい、なんでも買ってあげるから'
50代になるまで母にこんな話をしたのは初めてだった。生きるための日々が忙しかった
との言い訳、自分の仕事にのみ落ち込んで、母に尽くすのはおろか関心も示さなかった。
私は初めて母と二人切りで百貨店を訪れたことで気分が高鳴った。5~6才の頃母と手を
つないで公園に出かけた春の日の気分になった。
'母さん、何が欲しい? 高くてもかまわないから'
私は母の如何なる要求にも応じる気だった。母は私をそっと見上げ面映ゆげに笑うばかり。
母に贈り物をする機会などこの先どれほどあるだろうか。
やがて母はためらいながら恥ずかしそうな笑みを浮かべこう言った。
'あのね、化粧品が欲しいの'
傘寿老母の口から'化粧品'という言葉が出るとは夢にも思わなかった。とは言え母が
どれほど年老いても女人であることに変りはない。 ただの一度も母に化粧品など買って
あげたこと無かったのが恥ずかしくなった。衣類や生活用品は買ってあげたが、母と
連関して 「化粧品」という単語を繋いで考えたことは無かったのだ。母も鏡を覗きながら
化粧がしたい一人の女であることをなぜいまだに感じなかったか。美しさを保ちたい
本性をあくまで手放せない女人であることを今になって気付いたのか。母に対して
無関心過ぎたことに胸が痛む。
47才で後家になり、男の子二人と女の子二人を眺めながら一生を過ごしたのだ。その間母は
どれほど寂しく頼りなかっただろう。貧しい暮らしの中で子供育てに励んだ母は化粧した
姿など子供らに見せたことがなかった。
'老人用の最も優れた化粧品を下さい'幼い頃見つめてた若くて美しい母の姿が浮かび、
ひょっとすると長生きするかも知れないような思いがして口笛が出そうだった。女人は
年老いても美しさに対する渇望は捨てられない。それは永遠に保ちたい夢であろう。
父母の日を迎えても、天下に花一輪をつけてあげ、化粧品を買ってあげる人が居ないという
ことが嘆かわしくて遠い空を見上げる。
`어버이의 날'에 남들이 부모님의 가슴에 카네이션 꽃을 달아드리는 것을 보고, `그까짓 꽃
하나 달아드리는 것이 무슨 의미냐?'고 생각하곤 했다. 열일곱 살에 아버지를 여위고
홀어머니 밑에서 자라온 나는 남들이 일년마다 의례적으로 꽃을 달아드리는 행위를
남사스럽게 여겨 내 손으로 카네이션 꽃을 달아드리지 못했다. 아들과 딸들을 시켜
할머니에 게 꽃을 달아드리도록 했다.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어버이의 날이 다가오면, 이제 카네이션 하나 달아드릴 분이 이 세상에
안 계신다는 것이 허망하고 눈물겨울 뿐이다. 부모님이 살아계실적에 효성을 다하라 하였건만,
그러지 못하고 돌아가시고 나서 한탄한들 무슨 소용인가. 어버이날에 꽃 하나를 달아드리는
이 형식적이고 평범한 일이 얼마나 소중하고 행복한 일인가를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나서야
알게 된 것이 너무나 억울하게 생각된다.
어머니께서 돌아가시기 2년 전 어느 토요일, 일찍 귀가하는 길에 우연히 노모(老母)와
만났다. 어머니는 아파트단지 내에 있는 노인당으로 발걸음을 하시는 모양이셨는데 나를 보자
무척 반가워 하셨다. 집밖에서 어머니와 단 둘이 조우한 것은 드문 일이기도 했다.
나는 84세 어머니의 손을 잡고 근처에 있는 백화점으로 갔다.
대여섯 살 적 어느 화창한 봄날, 어머니의 손을 잡고 공원으로 꽃구경을 간 기억이 떠올랐다.
팔랑팔랑 춤추는 나비처럼 깡총깡총 뛰면서 나들이를 할 때, 향긋한 꽃내음이 어머니의 화장
냄새와 함께 풍겨왔다. 아, 세월이 흘러 대여섯 살이던 아들은 어느새 50대가 되었고,
아름다우시던 어머니는 주름 진 팔순 할머니가 되어 앞으로 몇 년이나 더 살게 될 지 예측할
수 없었다. 나는 다시금 옛날로 돌아가 대여섯 살의 아들이 되어 휘바람을 날리며 깡총깡총
뛰면서 나들이 가는 듯한 기분에 빠졌다. 어머니께서도 기분이 좋으신지 연신 나를 보며
웃고 계 셨다.
『어디로 가느냐?』 어머니는 의아롭다는 듯이 물었다.
『어머니! 오늘, 갖고 싶은 걸 다 말씀하셔요. 무엇이든 사드리겠어요.』
50대가 되도록 어머니에게 이런 말을 해본 것은 처음이었다. 살기에 바쁘다는 핑게, 내
일에만 빠져, 어머니에 대해 관심과 정성을 쏟지 못하고 있었다. 나는 어머니와 처음으로
단 둘이서 백화점에 오게 된 것에 기분이 고조되었다. 대여섯 살 적에 어머니의 손을 잡고
공원으로 봄나들이를 가던 그 기분이었다.
『어머니, 뭘 사드릴까요? 비싼 것도 괜찮아요.』
나는 어머니의 어떤 요구라도 응할 마음이었다. 어머니는 나를 물끄러미 쳐다보시며 계면적게
웃으시기만 했다. 어머니께 선물을 사드릴 수 있는 기회도 과연 몇 번이나 될 것인가.
어머니는 망설이다가 부끄러운 듯 미소를 띄시며 말했다.
『얘야, 화장품을 사고 싶구나.』
팔순 노모의 입에서 `화장품'이란 말이 나올 줄은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던 일이다. 그러나,
어머니가 아무리 노인이라 할지라도 여인임이 분명했다. 어머니께 한 번도 화장품을 사드리지
못한 일이 부끄럽게 느껴졌다. 옷가지나 생활용품을 사드렸지만 어머니와 연관하여 「화장품」
이란 낱말조차 떠올려 보지 못했다. 어머니께서도 거울을 보며 화장을 하고 싶어 하는 한
여인임을 왜 미처 깨닫지 못하였을까. 아름다움을 간직하고픈 본성을 절대로 놓칠 수 없는
여인이라는 걸 늦게야 알게 된 것일까. 어머니에 대한 무관심이 지나쳤 음이 가슴을 아프게
했다. 47세에 홀몸이 되신후 4남매를 바라보며 일생을 보내셨다. 그동안 얼마나 외롭고
적적하셨을까. 궁핍한 살림살이 속에서 4남매의 치닥거리에 온 관심을 기울이시느라
어머니께선 화장하는 모습조차 자식들에게 보인 일이 없었다.
『노인이 쓸 가장 좋은 화장품을 주세요!』
어렸을 적에 보았던 젊고 어여쁜 어머니의 모습이 떠오르고, 어쩌면 장수하시겠다는 생각이
들어 휘파람이 솔솔 나올 듯했다. 여인은 늙는다고 하여도 미에 대한 갈망을 버릴 수 없다.
그것은 영원히 간직하고픈 꿈일 것이다. 어버이날이 돌아온다고 해도, 하늘 아래 한 송이 꽃을
달아드리고 화장품을 사드릴 분이 계시지 않는 것이 한탄스러워 먼 하늘을 바라본다
'번역 [飜譯] > 韓日飜譯 [한일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em] 晩秋を詠う : 만추를 읊다 (0) | 2013.11.01 |
---|---|
[poem] 秋가을:趙炳華, 十月시월:李外守 (0) | 2013.10.19 |
[poem] 大好きな李秀翼の作品三つ (1) | 2013.09.30 |
[poem]1~6行の短い詩 짧은 시 6편 (1) | 2013.09.14 |
[poem] '九月구월''ススキ억새' (1) | 201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