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홀로 여행 -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   -   번역 [飜譯]/일한번역 [日韓飜譯]

 

항례행사(恒例行事)인 이사로-정말 지난 18년간 도대체 몇번 이사를 했던가-

집안이 어수선해서 도저히 소설을 쓸 수 있는 분위기가 아니기에 야츠가다케()

호텔에 열흘쯤 틀어박혀 일을 하기로 했다. 가끔 호텔에 틀어박혀 일하는 건 기분전환도

되고 해서 그다지 싫지 않지만 도시의 호텔에서는 대체적으로 에어컨이 지나치게 잘

들어와 몸 컨디션이 나빠진다. 그래서 야츠가다케까지 가기로 한 것이다.

조용하고 공기도 좋아 일 자체는 잘 된다. 다만 리조트호텔에 묵으면서 일을 할때의

문제점은 아침부터 밤까지 식사에 대해 궁리를 하게 되는 데 있다. 슬슬 아침을

먹어야겠다 라던가 점심은 몇 시에 식당으로 가야 좋을까 라던가, 오늘 저녁밥은 무엇이

나올까 등등 하루 종일 그런 걸 생각하게 된다. 내가 생각해도 한심하다. 그리고 거의

살이 쪄서 돌아온다.

 

야츠가다케까지는 고우미센(小海線)을 타고 간다. 고우미센 전차 안에는 실로 여자아이가

많다. 게다가 이 근처는 도쿄권(東京圈)과 간사이권(關西圈)이 겹치는 지역이라 도쿄에서

온 소녀군단과 간사이에서 온 소녀군단이 고부치사와(小淵澤) 근방에서 한류와 난류처럼

쾅 부딪치게 된다. 이게 말할 수 없이 소란스러운 것이다.

[어머머, 바보 같애] 라거나 [그리 말해도 내는 모른다] 라는 등 아무튼 캭캭거리는 게

엄청 시끄럽다. 고막이 찢어질 것 같다. 타케시타거리(도쿄 하라주쿠의 거리)가 선로

위를 달리고 있는 느낌이다. 나이든 차장이 나타나 [이봐요 좀 조용히 해요. 일반

손님들도 있으니까] 라고 말해봐야 아무도 들은 척 하지 않는다. 들을 리가 있나.

 

모두들 스포츠백과 테니스라켓을 들고 있다. 이렇게 잔뜩 테니스하는 인간이 있는데

비해 세계적인 일본 테니스플레이어가 나오지 않는 건 어째서인가. 하지만 그딴 것

생각해봐야 아무 소용없으니, 워크맨 이어폰으로 귀를 틀어막고 혼자 조용히 책읽기에

몰두한다. 넷이 앉는 의자에 나와 여자아이 셋이 앉아있다. 그쪽도 거슬리겠지만

이쪽도 거슬린다. 예전에는 주위에 여자아이들이 잔뜩 있으면 긴장해서 가슴이 두근거려

책 같은 거 도저히 읽을 수 없었으나 최근에는 [젊은애들은 지나치게 씩씩하고 시끄러워

참 싫다] 라고 까지 생각하게 되었다. 아직 그만큼 나이 먹지는 않은 듯한데 한심하다.

 

일을 마치고 열흘 뒤에 도쿄로 돌아왔다. 돌아오는 전차는 갈 때와는 딴 판으로

텅텅 비어있었다. 연휴가 끝났기 때문이리라. 내가 4인승 의자에 혼자 앉아 [고르키

파크]를 읽고 있으려니 잠시 후 비스듬한 앞자리에 테니스걸 보다는 한 단계 나이가

위인, 필경 20대 중반쯤인 듯한 여자가 앉았다. 약간 분위기 있는 여자였다. 이 여자는

아오야마(靑山)풍의 패션 차림을 하고 무릎 위에 잡지 [앤 앤]을 올려놓은 채 멍하니

바깥 풍경을 바라보고 있었다. 느낌이 홀로 여행 같았다.

 

혼자 여행을 하면서 곤란한 건 홀로 여행하는 여자와 만났을 때다. 그것도 이런

시추에이션으로 동석하게 되는 게 제일 곤란하다. 다른 사람은 아무도 없는 둘 뿐인

경우 말이다. 물론 곤란하지 않은 사람도 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나는 곤란하다.

얘기를 거는 게 좋은지 걸지 말아야 좋은지 잘 모르기 때문이다. 말을 걸었다가, 겨우

혼자 조용히 여행을 즐기고 있는데, 귀찮게시리, 라고 생각할까봐 싫다. 필경 흑심이

있어서겠지, 라고 생각하는 것도 불쾌하다. 그렇다고 해서 [심심한데 잠깐 이야기라도

걸어주면 좋지 않아. 틀림없이 소심한 남자일거야] 라고 여기는 것 또한 유감이다.

 

참으로 어려운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어떻게 할까 고민하면서 캔 맥주를 조금씩

마시며 [고르키 파크]의 페이지를 넘기는 동안 열차는 종착역에 닿아버렸다. 그것으로

. 이건 참으로 몸에 좋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그야 별 것도 아닌 일이지만, 별 것도

아닌 가운데 몸에는 좋지 않다. 차라리 아줌마 단체와 동석하는 편이 좀더 마음은 편하다.

 

혼자 여행하는 여자는 무슨 생각을 할까? 그녀들은 이런 경우 말을 걸어주기 바라나,

아니면 바라지 않나. 젊은 여성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문득 그 걸 물어보았다. 그러자

[하루키씨 바보군요. 그건 상대방에 따라서잖아요] 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옳거니.

하지만 그렇게 말하면 나 같은 사람은 더욱 고민에 빠지고 만다. 이야기를 건다면

도대체 뭐라고 해야 하는가. 화제가 없지 않은가. [[앤 앤] 재미있습니까?] 라고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대학 1학년때 혼자 여행을 했는데, 25~6세 되는 여인이 말을 붙여와 약간 당황스러웠던

기억이 있다.

이봐요, 그쪽 어느 대학이에요? 어머 와세다(早稻田)에요? 사귀는 여자 있어요? 그거

무슨 책이에요?“ 이런 식으로 장장 세시간 동안 상대를 하게 만들었다.

그 때의 신칸센(新幹線)은 한 차량에 손님이 2~3명밖에 없었는데, 그런데도 불구하고

그녀는 찍었다는 듯 내 옆자리에 와 앉아 저어, 몇살이에요? 어디 살아요?” 라고

시작을 하는 통에 나로서는 무척이나 겁을 먹었었다. 비교적 귀여운 여성이어서 나이

차 같은 거 신경 쓰지 않고 그 때 당당하게 꼬셨으면 좋았을걸 하고 이제 와서 생각

하지만, 그때는 나도 아직 순수했기 때문에 겁먹은 채로 세시간을 흘려보냈다.

 

그런 기억이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홀로 여행하는 여성에게는 말 걸기가 힘들다.

나는 특별히 소심한 편은 아니나 타인에게 폐를 끼친다는 점에 있어서는 민감한 점이

있다. 흑심에 대해서는 스스로도 잘 모르겠다.

하지만 그런 개인적 딜렘마를 별도로 할 때, 홀로 여행하는 여자란 정서적으로 꽤

느낌이 좋다. 홀로 여행하는 여자는 모두 한결같이 조금은 긴장하고 있다. 그리고

한결같이 무릎 위에 책을 올려놓고 가끔씩 창밖에 눈을 보낸다.

살짝 숨듯이 도시락을 먹거나 뭔가를 마시거나 한다. 그리고 혼자이므로 과묵하다.

그래서 있잖니라는 등의 말은 하지 않는다. 보통 때는 할는지 모르지만 지금은

안한다. 그러니까 그런 여자와 동석을 했을 때 근데 어디에 갔었어?” 라느니

재미있었어?” 같은 흔해빠진 질문을 하는 것 보다는 그냥 가만히 놔두고 싶은 마음이

생기기 때문에 말을 걸지 못하고 마는 것이다.

 

트르만 카포티의 단편에 [밤의 나무]라는 게 있다. 기타를 안고 나홀로 여행을 하는

젊은 여자의 이야기다. 그녀는 야간열차 안에서 별난 노부부와 동석하여 기묘한

체험을 하는데, 나는 이 이야기를 무척 좋아해서 열차 안에서 혼자 여행하는 여자를

만나면 늘 이 단편을 떠올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