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트스트랩법 [ bootstrap method , ~法 ] ? - 일반상식 [一般常識]
무슨 말인가 하고 인터넷을 뒤져보니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 있었다.
*부트스트랩법: 자료를 통해 얻은 통계량의 표본오차를 확률분포의 가정을 두지 않고
논파라메트릭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
잭나이프법이나 무작위화 검정과 같이 컴퓨터 사용을 전제로 한 새로운 통계방법의
하나이다. 주어진 데이터 세트를 원래의 모집단을 대표하는 독립표본으로 가정하고,
그 자료로부터의 중복을 허용한 무작위재추출을 컴퓨터로 복수의 자료를 작성하여
각각에서 얻은 통계량(부트스트랩반복)을 계산한다.
그리고 얻어진 복수의 통계량의 오차분산을 구한다. 부트스트랩법은 생물학에서의
사용도 차차 확산되어 가고 있지만 특히 계통추정론 분야에서는 계통수의 신뢰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개개의 형질을 자료점이라고 생각하고,
관찰된 형질집합을 1,000회내지 10,000회 정도 부트스트랩하여 각각의
형질집합으로부터계통수를 추정한다.
얻어진 복수의 계통수 전체에서 가지(단계통군)의 출현율(부트스트랩확률)을 계산한다.
출현율이 높은가지(가령 90%이상)일수록 신뢰할수 있는 단계통군을 반영한다고 볼수 있다.
감도 잡을 수 없어 또 하나의 설명을 열어보았더니 조금은 알 것 같은데 여전히 ???
* 부트스트랩(bootstrap) 또는 부트스트래핑은 "현재 상황에서 어떻게든 한다"는 뜻이다.
또, 사물의 초기 단계에서 단순 요소로부터 복잡한 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부트스트랩(전산):더 복잡한 도구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단순 도구를 만들거나
적재함으로써 복잡한 소프트웨어 도구를 만들거나 컴퓨터를 시작하는 것을 말한다.
줄여서 시동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이는 컴퓨터를 시작하는 과정을 서술해 준다.
*부트스트랩 (컴파일러): 언어 그 자체를 사용하여 컴퓨터 언어에 맞춰 컴파일을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부트스트랩 모형: 양자색역학 이전에 통용되던 물리 모형으로, 일반론으로부터
복잡한 이론을 완성하고자 하는 연구 분야이다.
*부트스트랩 로더 [bootstrap loader] : 컴퓨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미리
소프트웨어를 입력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그것을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먼저
입력할 필요가 있다. 그를 위한 프로그램이 부트스트랩 로더이며, 통상의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ROM으로서 당초부터 중앙처리장치(CPU) 속에 내장되어 있다.
하지만 나의 일반상식방에 들어있는
컴퓨터에 많이 사용되는 用語 속의 간단명료한 설명으로, 드디어 나는 납득했다 !
*부팅: 부팅이란 부트스트랩의 줄임말로 자동차의 시동거는 것과 비슷하다.
다시 말해 컴퓨터가 각종 응용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
'일반상식 [一般常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세까지 노망들지 않게 하는 101가지 방법 (0) | 2012.01.08 |
---|---|
숨은 그림 찾기 (6) | 2011.12.20 |
Correct Time to Drink Water (적시(適時)에 물 마시기 ) (2) | 2011.09.07 |
잡학 (0) | 2011.06.02 |
*알아두면 편리한 생활 상식* (2) | 2011.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