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寶第41號 :龍頭寺址鐵幢竿 용두사지 철당간 - 민속문양 [民俗紋樣]
國寶第41號 :龍頭寺址鐵幢竿
所在地 : 忠淸北道淸州市南門路2街48-19
時代 : 高麗
1962年12月20日國寶第41號に指定された. 花崗石で造られた支柱は高さ4.2メートル,
幢竿高さ12.7メートル, 鐵筒高さ0.63メートル, 鐵筒直径0.4メートルからなる.
幢竿は寺で祈禱や法會などの儀式が行われる時幢を掲げる柱を指す. 新羅時代以後
寺の建立とともに多くの幢竿が設置されたが、ほとんど石造の支柱のみ残っており
幢竿は無くなっている. 鐵幢竿では、寶物第256號の公州甲寺の鐵幢竿、京畿有形文化財
第39號の七長寺幢竿とこの龍頭寺址鐵幢竿三つだけが残っている.
幢竿の支柱は花崗石で、兩支柱が向かい合う形で立てられ、その間に圓筒型の幢竿20個를を
連結させて鐵製幢竿を建てた. 兩支柱は外面の中央に突き出し縦線を刻んで変化を表わし
支柱の天辺には固定裝置を附け、幢竿が動かないようにした. 尚、鐵幢竿の下から3番目の
鐵筒外面に、鐵幢竿を建てた動機と過程等が陽刻されている. この銘文に依ると
962年(高麗光宗13)に建立され, 元來は30個の鐵筒からなっていたとある.
なお、この鐵幢竿に関わる次のような逸話が伝わっている. 昔、淸州には洪水が度度發生し
村人に被害を被らせたが, とある占術家が、大きな帆柱を建てておけば、この地方が
舟の形になり、災難を避けられるだろうと言った. その話を聞いた村人達が帆柱の役割を
成すであろう幢竿を建てると, 以後洪水が出なかった. その時から淸州を舟城と呼んだと
言われる.
----
국보 제41호 : 용두사지 철당간 [龍頭寺址鐵幢竿]
소재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2가 48-19
시대 : 고려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41호로 지정되었다. 화강석(花崗石)으로 만든 지주는 높이 4.2m이며, 철당간 높이 12.7m, 철통 높이 0.63m, 철통지름 0.4m이다. 당간은 사찰에서 기도나 법회 등 의식이 있을 때 당(幢)을 달아 두는 기둥을 말한다. 신라시대 이후로 사찰의 건립과 동시에 많은 당간이 설치되었으나 대개 석조로 된 지주만 남아 있고 당간은 없어졌다. 철당간으로는 보물 제256호인 공주 갑사(甲寺)의 철당간과 경기유형문화재 제39호인 칠장사당간七長寺幢竿, 이 용두사지 철당간 3개만이 남아 있다.
당간의 지주는 화강석으로 양 지주가 마주 서 있고 그 사이에 원통 모양의 당간 20개를 연결시켜 철제당간을 세웠다. 양 지주는 바깥면 중앙에 세로로 도드라지게 선을 새겨 단조롭지 않도록 변화를 주었고, 지주의 맨 위쪽에는 고정 장치를 만들어 당간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였다. 특히 철당간의 밑에서부터 세 번째의 철통 겉면에 철당간을 세우게 된 동기와 과정 등이 양각되어 있다. 이 명문(銘文)에 따르면 962년(고려 광종 13)에 건립되었으며, 원래는 30개의 철통으로 되어 있었다고 한다.
또한 이 철당간과 관련된 일화가 다음과 같이 전해지고 있다. 옛날 청주에는 홍수가 자주 발생하여 백성들의 피해가 많았는데, 어느 점술가가 큰 돛대를 세워 놓으면 이 지역이 배의 형상이 되어 재난을 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일러 주었다. 그 말을 들은 사람들이 돛대 구실을 하는 당간을 세워 놓자, 이후로는 홍수가 지지 않았다. 이때부터 청주를 주성(舟城)이라 불렀다 한다.
<두산백과사전>
'민속문양 [民俗紋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國寶第43號 : 高麗高宗制書 고려고종제서 (0) | 2011.07.09 |
---|---|
國寶第42號 : 木彫三尊佛龕 목조삼존불감 (0) | 2011.05.18 |
國寶第40號 : 淨惠寺址十三層石塔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0) | 2011.02.24 |
國寶第39號 : 月城羅原里五層石塔 월성나원리5층석탑 (2) | 2011.01.21 |
冠服函, 冠筒 - 관복함, 갓통 (0) | 2010.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