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寶第38號 : 高仙寺址三層石塔   -   민속문양 [民俗紋樣]

        

國寶第38號 : 高仙寺址三層石塔
所在地 :  慶尙北道慶州市仁王洞76  
時代 :  統一新羅  

1962年12月20日國寶第38號に指定. 高さ9mからなる. 元は慶尙北道慶州市 高仙寺址に
あったものを德洞ダム建設で水中に沈まれるはめになり、1977年今のところに移される.
規模や架構手法が國寶第112號の感恩寺址三層石塔と似ている.

2層の基壇としたこと, 地臺石や下基壇の面石を同一石12枚で, 下基壇の甲石と上基壇の
面石は12枚の異なる石で, 上基壇甲石が8枚であること, 塔身部と初層屋身は隅柱と
面石を他石8枚で, 2層玉身は各面1枚の4石で, 3層玉身は1石にしたこと, 屋蓋は蓋石と
支えを各各違う石4個にしたこと, 玉蓋支えは5段で、下基壇撑柱は3柱, 上基壇撐柱は
2柱からなること等が感恩寺址三層石塔と同じで, ただ初層玉身の各面に門扉形陽刻が
あるのが違う.
相輪部は層段の無い露盤と、覆鉢 ·仰花石に残っており, 擦柱は無い.

高仙寺は元曉大師が泊っていた事實があり, 彼の入寂が686年(神文王6)からみても
この塔の建立年代をこの時期と見るのが石塔建築樣式から見ても妥當といえよう.

국보 제38호  고선사지 삼층석탑(高仙寺址三層石塔)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76  
시대  통일신라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38호로 지정되었다. 높이는 9m이다. 원래 경상북도 경주시 고선사지에 있던 것을 덕동댐 건설로 물에 잠기게 되자 1977년 지금의 장소로 옮겼다. 규모와 가구수법(架構手法)이 국보 제112호인 감은사지 삼층석탑(感恩寺址三層石塔)과 비슷하다.

2층 기단을 마련한 점, 지대석(地臺石)과 하기단(下基壇) 면석(面石)을 같은 돌 12장으로, 하기단 갑석(甲石)과 상기단(上基壇) 면석은 다른 돌 12장으로 하고, 상기단 갑석이 8장인 점, 탑신부(塔身部)도 초층 옥신(屋身)은 우주(隅柱:모서리 기둥)와 면석을 다른 돌 8장으로, 2층 옥신은 각 면(各面) 1장씩의 4석(石)으로, 3층 옥신은 1석으로 한 점, 옥개(屋蓋)는 개석(蓋石)과 받침을 각각 다른 돌 4석으로 한 점, 옥개받침은 5단이고 하기단 탱주(撑柱)는 3주, 상기단 탱주는 2주인 점 등이 감은사지 삼층석탑과 같고, 다만 초층 옥신의 각 면에 문비형(門扉形)의 양각이 있는 점이 다르다. 상륜부(相輪部)는 층 ·단(層段)이 없는 노반(露盤)과 복발(覆鉢) ·앙화석(仰花石)이 남아 있고, 찰주(擦柱)는 없다.

고선사는 원효가 머물렀던 사실이 있으며, 그의 입적(入寂)이 686년(신문왕 6)이므로 이 탑의 건립연대를 이때로 보는 것이 석탑 건축양식으로 보더라도 타당할 것 같다.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