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寶第36號 : 上院寺銅鐘 상원사 동종 - 민속문양 [民俗紋樣]
所在地 : 江原道平昌郡珍富面東山里上院寺內
時代 : 統一新羅時代
1962年12月20日,國寶第36號に指定される. 高さ167cm, 直径91cm.
現存する韓國銅鐘のなかで最も古い立派な梵鐘で, 澄んだきれいな音を出す.
鐘身には肩帶と口緣帶があり, 上下で緊迫な感じを与える. なお上と下に聯珠文帶を回し
流麗な唐草紋で埋め, 所々1~4人の樂天を陽刻した半圓圈をまわし, 肩帶に張り付けて
唐草紋を陽刻した乳廓4區から各各蓮花紋を彫った乳頭が九つづつ突き出ている.
鐘身空間には互いに向き合った所へ膝を立て空中を舞いつつ箜篌と笙を奏でる飛天像が
陽鑄されている. 頂上には龍鈕と圓筒音管があり, 龍は頭部を特に大きく表現され,
体は音板につけてあり, 足はてっぺんで踏ん張っている.
音管·乳廓等韓國鐘の典型的な特徵を立派に表現している優秀な鐘である. 龍鈕の左右に
鐘銘が陰刻され、鑄成年代が725年(新羅聖德王24)であることが察せられる. この鐘が
鑄成された後どの寺に所屬されたかは不明だが, 永嘉誌に依ると、慶尙北道安東樓門に
掲げられていたのを、1469年(朝鮮睿宗1)に王命に依って現在の上元寺に移されたと
なっている.
국보 제36호 : 상원사 동종
소재지 : 강원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산1 상원사
시대 : 통일신라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36호로 지정되었다. 높이 167cm, 지름 91cm이다.
우리나라의 현존하는 동종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범종으로서,
음향이 맑고 깨끗하다.
종신에는 견대(肩帶)와 구연대(口緣帶)가 있어, 상하가 긴박한 느낌을 준다.
또한 상하로 연주문대(聯珠文帶)를 둘린 다음 유려한 당초문으로 채우고, 드문드문
1인 내지 4인의 낙천(樂天)을 양각한 반원권을 둘렸으며, 견대에 붙여서
당초문을 양각한 유곽(乳廓) 4구를 두고, 그 안에 각각 연화무늬를 새긴 유두가
9개씩 솟아 있다. 종신 공간에는 서로 마주 대하는 두 곳에 구름 위에서
무릎을 세워 하늘을 날면서 공후(箜篌)와 생(笙)을 주악하는 비천상이 양주되어
있다. 정상에는 용뉴(龍鈕)와 원통음관(圓筒音管)이 있으며, 용은 두부를 특히 크게
표현하고, 몸은 음판에 붙어 있으며, 발은 위 꼭대기에 버티고 있다.
음관·유곽 등 한국 종의 전형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우수한 종이다. 용뉴 좌우에
종명이 음각되어 있어 주성 연대가 725년(신라 성덕왕 24)임을 알 수 있다.
이 종이 주성된 후 어느 절에 소속되어 있었는지 알 수 없으나, 영가지(永嘉誌)에
의하면 경상북도 안동누문(安東樓門)에 걸려 있던 것을 1469년(조선 예종 1)에
왕명에 의하여 현재의 상원사로 옮겨온 것으로 되어 있다. - 두산백과사전 -
'민속문양 [民俗紋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國寶第38號 : 高仙寺址三層石塔 (0) | 2010.08.22 |
---|---|
國寶第37號 : 慶州九黃里三層石塔 (0) | 2010.07.15 |
國寶第35號 : 華嚴寺四獅子三層石塔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0) | 2010.05.15 |
國寶第34號 : 昌寧述亭里東三層石塔 (0) | 2010.04.05 |
國寶第33號 : 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 (0) | 2010.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