圓覺寺址十層石塔 원각사지10층석탑 : 國寶2號 - 민속문양 [民俗紋樣]
國寶第二號 : 圓覺寺址十層石塔
所在地: ソウル特別市鐘路區鐘路2街 (パゴダ公園內)
朝鮮時代 世祖13年(1467年) 建造
この塔は大理石で造られた10層の石塔で、豊富な意匠から成る特殊な形をしており
朝鮮時代の石塔の中で最も優秀な作品と言われている.
この塔は從來の一般的な石塔とは異なり、斜面突出型の平面, 三層から成る基壇,
木造建物の形態を真似た十層の塔身, 及び、塔全面を飾った様々な彫刻など
新たな特色が發見されている。
高麗時代(1348年)に立てられた敬天寺址十層石塔と同一な形をしているのを鑑み
その影響を受けて造成されたこととうかがえる。
塔を支える基壇は3段になっており, 上から見ると亞の字の形をなしている.
各層の基壇の側面には龍, 獅子, 蓮などの紋様を以て華やかに彫刻されている.
塔身部は十層になっているが, 三層までは基壇と同じく亞の字模様で,
四層からは正方形の平面になっている. 各層毎に木造建築を模倣して
屋根, 栱包, 柱などの細部を巧みに表現している.
圓覺寺址十層石塔は、その秀麗さと技巧的な面で、朝鮮時代はもとより
わが國の塔婆史上、間違いなく指折りの秀作であると言えるだろう。
ーーーーー
국보제2호 - 원각사지10층석탑(圓覺寺址十層石塔)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2가 38 탑공원 내
시대: 조선시대 세조 13년 (1467)
이 탑은 대리석으로 이루어진 10층의 석탑으로 형태가 특수하고, 의장(意匠)이 풍부하여
조선시대의 석탑 중에서 가장 우수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석탑과는
달리,사면 돌출형의 평면, 삼층으로 된 기단, 목조건물의 형태를 본 뜬 10층의 탑신,
그리고 탑의 전면을 장식하고 있는 여러 조각 등에서 새로운 특색이 발견되고 있는데,
이는 고려시대(1348)에 건립된 경천사지십층석탑(敬天寺址十層石塔)과 같은 형태를
보이고 있어 이 탑의 영향을 받아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탑을 받쳐주는 기단(基壇)은 3단으로 되어있고, 위에서 보면 아(亞)자 모양이다.
기단의 각 층 옆면에는 용, 사자, 연꽃무늬 등 여러가지 장식이 화사하게 조각되어있다.
탑신부(塔身部)는 10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3층까지는 기단과 같은 아(亞)자 모양을
하고 있고, 4층부터는 정사각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다. 각 층마다 목조건축을 모방하여
지붕, 공포, 기둥 등을 세부적으로 잘 표현하였다.
원각사지 십층석탑은 그 수려하고도 기교적인 면에서 볼 때 조선시대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탑파사상에 있어서도 가히 손꼽히는 수작이라 할 수 있겠다.
'민속문양 [民俗紋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申師任堂の草蟲圖 - 신사임당의 초충도 (0) | 2006.02.14 |
---|---|
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 : 國寶3號 (0) | 2006.02.08 |
寺を守る動物類 사찰을 지키는 동물들 (0) | 2006.01.07 |
崇禮門 숭례문 : 國寶第1號 (0) | 2006.01.05 |
風呂敷に含まれた芸術魂 (0) | 2005.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