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읽었으면 합니다   -   번역 [飜譯]/일한번역 [日韓飜譯]

 

소설을 읽는 사람  아쿠타가와류노스케(芥川龍之介)

내 경험에 의하면 요즘 독자들은 대개가 그 소설의 줄거리를 읽는다.

그 다음은 그 소설 안에 그려지는 생활을 동경한다. 이 점은 가끔 이상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실제로 내가 알고 있는 어떤 사람은 상당히 경제적으로

고통 받는 생활을 하면서도 부호나 귀족들만 나오는 통속 소설을 애독한다.

그뿐 아니라 자신의 생활에 가까운 삶을 그린 소설에는 전혀 흥미를 느끼지 못한다.

세 번째는 두 번째와 반대로 독자 자신의 생활과 비슷한 것만 구해서 본다.

난 이런 점들을 반드시 나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이 세 가지 심정은 동시에

나 자신 안에도 존재하고 있다.

나는 줄거리가 재미있는 소설을 애독한다. 또한 나 자신의 생활과 동떨어진 삶을

그린 소설도 애독하지 않는 건 아니다. 끝으로 나 자신의 생활에 가까운 소설도

물론 애독하고 있다. 그러나 그런 소설을 감상할 때, 나의 평가를 결정짓는 것은

꼭 그런 기분에서만은 아니다.

만약 내가(독자로서) 이 세상의 애독자들과 다르다면 이 점에 있다고 생각된다.

그럼 무엇이 나의 평가를 결정짓는가? 그건 감명의 깊이라고 말 할 수밖에 없다.

줄거리의 재미라던가, 나 자신의 생활과 멀다던가, 혹은 나 자신의 생활과

가깝다던가 하는 점도 물론 약간은 영향이 미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영향 이외에

뭔가가 더 있다는 것을 믿고 있다.
이 뭔가에 이끌리는 독자의 무리가 곧 독서계급이라 불리는 것이다. 혹은 문예적

지식 계급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계급은 의외로 좁다. 아마도 서양보다 훨씬 좁을 것이다. 나는 지금 그러한

사실의 선악을 논하고 있는 게 아니다. 다만 사실로서 한마디 할 뿐이다. (1927)

 

小説読者 - 芥川龍之介

経験するところによれば小説読者といふものは大抵はその小説

んでゐるそのぎにはその小説かれた生活憧憬つてゐる

これには不思議気持がしないことはない
つてゐるなどは随分経済的しいらしをしてゐながら富豪

華族ばかり通俗小説愛読してゐるのみならずこの生活生活

いた小説には全然興味つてゐない
第三には第二反対そのぎには読者自身生活いものばかりめてゐる
はこれらをずしもいこととはつてゐないこのつの心持ちは同時僕自身

にも存在してゐる面白小説愛読してゐるそれから僕自身生活

生活いた小説愛読しないことはない最後僕自身生活小説

愛読してゐることは勿論である
それらの小説鑑賞する評価決定するものはずしもそれらの

気持ではない読者として世間小説読者つてゐるとするならば

かうにあるとつてゐるでは評価決定するかとへば感銘

さとでもふほかはないそれには面白さとか僕自身生活いこととか

はまた僕自身生活いこととかふことも勿論幾分影響してゐるだらう

しそれらの影響のほかにかあることをじてゐる
このかにかされる読者一群つまり読書階級ばれるのである

文芸的知識階級ばれるのである
かう階級存外狭おそらくは西洋よりも一層狭いだらうかう

事実善悪じてゐるのではない唯事実として一寸話すだけである

昭和二年三月

*****

문장과 언어와 - 이쿠타가와류노스케

     문장

내게 문장에 너무 집착한다. 그렇게 집착할 것 없다고 말하는 친구들이 있다.

난 별로 필요 이상 문장에 집착한 적은 없다. 문장은 무엇보다 정확하게 쓰고 싶다.

머릿속에 있는 것을 정확하게 문장으로 표현하고 싶다. 난 그저 그 점에 유의하고 있다.

그것만으로도 펜을 잡았을 때 술술 나가는 적이 거의 없다. 늘 조잡스런 문장을

쓰고 있다.

나의 문장에 대한 고심은 (만약 고심이라고 말 할 수 있다면) 그 점을 정확하게 하려는

것뿐이다. 타인의 문장에 대한 주문도 나 자신에 대해 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정확하지 않은 문장에는 아무래도 감탄할 수 없다. 적어도 좋아지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나는 문장 상의 아폴로주의를 신봉하는 사람인 것이다.

나는 누가 뭐라 해도 방해석(方解石, Calcite)처럼 확실한, 애매함을 용서치 않는

문장을 쓰고 싶다.

     언어

50년 전의 일본인은 []이라는 언어를 들었을 때 대부분 머리를 각발(角髮)로 빗고,

목둘레에 곡옥(勾玉)을 감은 남녀의 모습을 느꼈다. 그런데 요즘 일본인은 적어도

오늘날의 젊은이는 대개가 턱수염을 길게 늘어트린 서양인을 느끼는 모양이다.

언어는 같은 [()]이다. 그러나 마음에 떠오르는 모습은 이토록 변천하고 있다. 

또 보고 싶어 꽃으로 밝아 오는 신의 얼굴 (なおたし- 葛城山)

나는 전에 고미야(小宮씨와 이 파초(芭蕉의 구()를 놓고 토론한 적이 있다.

시키(子規) 거사의 생각을 빌리자면이 구는 해학으로 장난 친 것이다. 나도 그 설에

이의는 없다. 하지만 고미야씨는 막무가내로 장엄한 구라고 주장했다.

화력(画力)500, 서력(書力)800년에 다한다고 한다. 문장의 힘이 다하는 건

몇백년쯤 걸릴 것인가


 

文章言葉- 芥川龍之介

     文章
文章りすぎるさうるなといふだちがある別段必要以上文章

つたえはない文章よりもはつきりきたいにあるものをはつきり

文章したいそれだけをがけてゐるそれだけでもペンをつてると

滅多にすらすらつたことはないずごたごたした文章いてゐる文章上

苦心といふのはもし苦心といひるとすればそこをはつきりさせるだけである

他人文章する注文僕自身するのとじことであるはつきりしない文章には

どうしても感心することは出来ないくともきになることは出来ないつまり

文章上のアポロ主義ずるものである
といはれても方解石のやうにはつきりした曖昧さぬ文章きたい

     言葉
五十年前日本人といふ言葉いた大抵髪をみづらに

のまはりに勾玉をかけた男女姿じたものであるしかし今日日本人

――くとも今日青年大抵長ながと顋髯をのばした西洋人じてゐるらしい

言葉であるかぶ姿はこのすでに変遷してゐる
なほたし葛城山
はいつか小宮さんとかういふ芭蕉じあつた子規居士へるによれば

この諧謔したものであるもその異存はないしかし小宮さんは

どうしても荘厳だと主張してゐた画力五百年書力八百年きるさうである

文章きるのは何百年位かかるものであら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