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達寺址浮屠 고달사지 부도 : 國寶 第4號 - 민속문양 [民俗紋樣]
高達寺址浮屠
所在地 : 京畿道 驪州郡 北內面 上橋里 411-1
高達寺の跡に殘っている高麗時代の浮屠.
高達寺は統一新羅景德王23年(764年)に創建された寺で, 高麗光宗以後から王の
保護を受け大伽藍として面貌を保っていたが, いつ頃閉鎖されたかは定かでない.
廣廣とした境內の中に立てられたこの塔は、底の形が8八角から成っており,
屋蓋の裝飾が完全でないのを除けばほとんど元型のまま殘っている.
基壇は上中下の三つの部分から成っているが, とりわけ中間の石に刻まれた彫刻が
目立ち、龜を中心とする四匹の龍と周りの雲紋様は力強く大胆で巧みに彫刻されて
いる。八角塔身の各面には門扉形と四天王像が彫られている.
この浮屠は新羅の基本形を受け継ぎながらも細部では高麗時代の樣式を强く
漂わせている. これが誰のものか明らかではないが、各部の樣式手法に鑑み
高麗光宗9年(958年)の 元宗大師慧眞塔より前に造られたものと推定している.
高さ:3.4m
국보 제4호 : 고달사지 부도
소재지 : 경기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411-1
고달사터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의 부도이다.
고달사는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23년(764)에 창건된 절로, 고려 광종 이후에는 왕들의
보호를 받아 큰 사찰로서의 면모를 유지하기도 하였으나, 언제 문을 닫게 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널찍한 절터 한켠에 세워진 이 탑은 바닥의 형태가 8각을 이루고 있으며, 꼭대기의
머리장식이 완전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잘 남아 있다.
기단(基壇)은 상·중·하 세 부분으로 갖추어져 있는데, 특히 가운데돌에 새겨진 조각들이
빼어난데, 거북을 중심으로 네 마리의 용과 구름모양을 조각한 솜씨가 힘차고 능숙하며
대담하다. 팔각 탑신의 각면에는 문비형(門扉形)과 사천왕상이 조각되고, 비교적
두꺼운 지붕에는 각 전각마다 높직한 귀꽃이 장식되어 있다.
신라부도의 기본형을 따르면서 세부에서 고려시대 양식을 강하게 풍기고 있다.
이 부도는 누구의 것인지 확실치 않으나 각부 양식수법으로 보아 고려 광종(光宗) 9년
(958)에 입각한 원종대사의 혜진탑(慧眞塔)보다 앞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 3.4m
所在地 : 京畿道 驪州郡 北內面 上橋里 411-1
高達寺の跡に殘っている高麗時代の浮屠.
高達寺は統一新羅景德王23年(764年)に創建された寺で, 高麗光宗以後から王の
保護を受け大伽藍として面貌を保っていたが, いつ頃閉鎖されたかは定かでない.
廣廣とした境內の中に立てられたこの塔は、底の形が8八角から成っており,
屋蓋の裝飾が完全でないのを除けばほとんど元型のまま殘っている.
基壇は上中下の三つの部分から成っているが, とりわけ中間の石に刻まれた彫刻が
目立ち、龜を中心とする四匹の龍と周りの雲紋様は力強く大胆で巧みに彫刻されて
いる。八角塔身の各面には門扉形と四天王像が彫られている.
この浮屠は新羅の基本形を受け継ぎながらも細部では高麗時代の樣式を强く
漂わせている. これが誰のものか明らかではないが、各部の樣式手法に鑑み
高麗光宗9年(958年)の 元宗大師慧眞塔より前に造られたものと推定している.
高さ:3.4m
국보 제4호 : 고달사지 부도
소재지 : 경기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411-1
고달사터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의 부도이다.
고달사는 통일신라시대 경덕왕 23년(764)에 창건된 절로, 고려 광종 이후에는 왕들의
보호를 받아 큰 사찰로서의 면모를 유지하기도 하였으나, 언제 문을 닫게 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널찍한 절터 한켠에 세워진 이 탑은 바닥의 형태가 8각을 이루고 있으며, 꼭대기의
머리장식이 완전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잘 남아 있다.
기단(基壇)은 상·중·하 세 부분으로 갖추어져 있는데, 특히 가운데돌에 새겨진 조각들이
빼어난데, 거북을 중심으로 네 마리의 용과 구름모양을 조각한 솜씨가 힘차고 능숙하며
대담하다. 팔각 탑신의 각면에는 문비형(門扉形)과 사천왕상이 조각되고, 비교적
두꺼운 지붕에는 각 전각마다 높직한 귀꽃이 장식되어 있다.
신라부도의 기본형을 따르면서 세부에서 고려시대 양식을 강하게 풍기고 있다.
이 부도는 누구의 것인지 확실치 않으나 각부 양식수법으로 보아 고려 광종(光宗) 9년
(958)에 입각한 원종대사의 혜진탑(慧眞塔)보다 앞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높이 3.4m
'민속문양 [民俗紋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原塔坪里七層石塔 중원탑평리7층석탑: 國寶第6號 (0) | 2006.04.23 |
---|---|
法住寺雙獅子石燈 법주사쌍사자석등 - 國寶第5號 (0) | 2006.04.07 |
わが國の書道について (0) | 2006.02.18 |
申師任堂の草蟲圖 - 신사임당의 초충도 (0) | 2006.02.14 |
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 : 國寶3號 (0) | 2006.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