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식을 갖고서야 아는 부모의 은혜   -   번역 [飜譯]/일한번역 [日韓飜譯]

엔도슈사쿠(遠藤周作)용기 있는 말중에서

                                  

내가 알고 있는 초밥집 젊은 주인은, 돌아가신 그의 부친을 아직도 존경하고 있다. 죽은 육친의 일은 많은 경우 미화(美化)당하는 게 보통이므로, 그의 부친 추억도 그게 아닌가 하고 들었는데, 얼마 지나 생각이 바뀌어갔다.

고등학교를 나온 때부터 그는 부친에게 초밥을 만드는 법, 밥을 짓는 법초밥집을 하는 모듣걸 배웠다. 부친은 그의 밥 짓기가 서툴다며 그걸 뒤집어 엎을 만큼 엄격했으나, 뭐라 해도 기술에 차이가 있으니 투덜댈 수는 없었다. 하지만 어느 날, 참다못해,

, 나에게만 심하게 구는 거야라고 묻자,

내 자식이니까 심하게 구는 거다.’ 라고 되받았다고 한다.

부친이 죽고, 제몫을 할 나이가 되어 점포를 이어받고 나니, 그 심하게 대해주었던 기술이 도움이 되어, 과연, 과연 하면서 그는 알았다고 한다.

나는 이 젊은 주인의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부럽다고 마음속으로 생각한다. 거기에는 우리들이 어떤 의미로든 이상으로 삼는 부친과 아이의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아이는 그 때, 기술뿐만 아니라 부친의 사는 방식도 배워나간다. 자기가 만드는 초밥에 타협하지 않는 부친, 밥 짓는 법 하나에도 성의를 가지고 하는 부친의 사는 방식을 기술과 동시에 배워나간다. 그것이 본래, 부친이라는 거다.

내가 이 젊은 주인을 부럽다고 생각한 것은, 내게는 자신의 아들에게 그러한 기술을 가르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나는 소설가인데 아들은 다른 길로 갈게 틀림없다. 내가 오늘날까지 습득한 소설을 쓰는 기술을 그에게 가르칠 수는 없다. 요즘의 많은 부친도 나와 같은 슬픔을 자식에게 가지고 있음이 틀림없다. 자신이 습득한 기술을 자식에게 가르칠 수 없는 슬픔이 마음 속 어딘가에 있을게 틀림없다. 그리고 자식에 있어서도, 부친은 그것으로 장래를 살아갈 지혜를 전해주는 스승이 아니고, 그저 꺼림직 한 존재이던가, 친구와 같은 아빠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굳이 그렇다면 아이에게 자신의 취미를 불어넣자. 낚시를 좋아하는 부친은 아이에게 낚시를, 레코드를 좋아하는 부친은 아이에게 클래식을, 장미 기르기를 좋아하는 부친은 꽃 기르는 법을 아이에게 가르치자고 하다가 마는 때가 있는데....

<편집부 주> 무 취미 무 기술인 우리들은 무엇을 가르치면 좋을까요. 마작을 가르칠 수는 없지 않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