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生に一度観るのも難しい神秘的な竹の花が「ぱあっと」 - 번역 [飜譯]/韓日飜譯 [한일번역]
< 東亞日報 : 2020年7月8日 >
慶南晉州の山林バイオ所在硏究所は8日国道2號線である晉州-昌原の国道辺で竹樹の王竹1000餘本が、一生に一度見るのも難いと言う竹の花を一斉に咲かせたと明した.
国内では5属18種の竹種が分布し、面積は約2万2000haに達するが、竹の花を観るのはとても難しくて、「神祕の花」と呼ばれている.
竹の花は特性と發生が神祕的で稀貴なので昔から竹樹に花が咲くと、国家に良い事が發生する証だと言い希望を象徵する.
今まで竹の花が咲いた事例は、1937年慶南河東の王竹林, 2007年慶北漆谷の綿大林, 2008年 慶南巨濟チルジョン島の孟宗竹林, 2012年慶南晉州-泗川休憩所道路辺の王大林, 2017年慶南昌原綿帯林, 2019年全北井邑·順昌, 江原嶺東の竹林等である.
竹の樹は花が咲き始めると旣存に伸びていた竹樹の茎と地下へ伸びた根が完全に死んでしまう. 以後根から隠れた芽が育ちつつ再生するが, 花が咲く以前のような狀態に竹樹の森が回復されるのに10餘年以上がかかる.
竹樹開花の原因は明確に知らされていないが関連学設で60∼120年目に咲くとの週期設, 特定の營養分が消盡され發生するとの榮養説等がある.
山林バイオ所在硏究所の孫ヨンモ所長は、「種では無い土中根で繁植する竹樹が花を咲かせたのはとても稀貴な懸象だ」と言いつつ、「向後竹花が咲く林を対象に立地環境, 營養狀態, 遺傳子分析等を通じて開花の原因を明すと共に、健全な竹林管理をするための硏究を持続的に推進する」と明した.
동아일보 : 2020-07-08 08:58
*일생에 한번 보기 힘든 신비로운 대나무 꽃 ‘활짝’
경남 진주 산림바이오소재 연구소는 8일 국도 2호선인 진주-창원 국도변에서 대나무 왕대 1000여 본이 일생에 한 번 보기 힘들다는 대나무 꽃을 일제히 피웠다고 밝혔다.
국내에는 5속 18종의 대나무 종이 분포하며 면적은 약 2만2000ha에 달하지만 대나무의 꽃을 보는 것은 매우 어려워 ‘신비의 꽃’이라고 불린다.
대나무 꽃은 특성과 발생이 신비롭고 희귀해 예로부터 대나무에 꽃이 피면 국가에 좋은 일이 발생할 징조라고 해 희망을 상징한다.
지금까지 대나무 꽃이 핀 사례는 1937년 경남 하동의 왕대림, 2007년 경북 칠곡의 솜대림, 2008년 경남 거제 칠전도의 맹종죽림, 2012년 경남 진주-사천휴게소 도로변 왕대림, 2017년 경남 창원 솜대림, 2019년 전북 정읍·순창, 강원 영동의 대나무림 등이다.
대나무는 꽃이 피기 시작하면 기존에 자라고 있던 대나무 줄기와 지하로 뻗은 뿌리가 완전히 죽게 된다. 이후 뿌리에서 숨은 눈이 자라면서 다시 재생되지만, 꽃이 피기 전과 같은 상태로 대나무 숲이 회복되는데 10여 년 이상이 걸린다.
대나무 개화의 원인은 명확히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관련 학설로 60∼120년 만에 핀다는 주기설, 특정한 영양분이 소진돼 발생한다는 영양설 등이 있다.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손영모 소장은 “씨앗이 아닌 땅속 뿌리로 번식하는 대나무가 꽃이 핀 것은 매우 희귀한 현상이다”며 “향후 대나무 꽃이 피는 숲을 대상으로 입지환경, 영양상태, 유전자 분석 등을 통해 개화 원인을 밝혀냄과 동시에 건전한 대나무숲 관리를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번역 [飜譯] > 韓日飜譯 [한일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 今年もトッテナム施賞式の主人公は孫興慜…2年連続4冠王 (0) | 2020.07.21 |
|---|---|
| *防彈少年団日定規4集, 二日間オリコン・チャート占領 (0) | 2020.07.18 |
| 全世界のコロナ確診者1000万一死亡者50万越え (0) | 2020.06.29 |
| *日本で再び吹く韓流熱風 : 朝鮮日報東京=李ハウオン特派員 (0) | 2020.06.23 |
| 「田舎ぽいって?」… トロット, 辺陲で舞台中心に立ちつつ「若い反乱」 (0) | 2020.06.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