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속도> -무동- - 민속문양 [民俗紋樣]
조선시대 서민들의 생활상을 엿보기 위해, 당시의 모습을 가장 실감나게 그린
김홍도(金弘道, 1745~?)의 단원풍속화첩 중 몇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보물 제 527호로 지정되어 있는 《단원풍속화첩》은
서당, 논갈이, 활쏘기, 씨름, 무동, 대장간, 나룻배, 주막, 빨래터, 길쌈등을 포함하여
모두 25점으로 이루어져있는데, 제목을 봐도 알 수 있듯, 각계층의 삶의 이모저모를
한국적 해학과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대체로 배경을 생략하고 등장인물들이 취하는 자세와 동작만으로 적절하게 화면을 구성한 것이
특징으로, 하나하나가 평범한 삶의 모습이되 화가의 따뜻한 시선과 예리한 시각에 의한 순간 포착은
이를 볼거리로 부각시켜 그림이 그려진 사회분위기를 잘 전하고 있다.
================
* 무동 (각 27cm x 22.7cm)
종이에 담채로 그린 것으로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이 그림은 둘러앉은 악사들과 이들이 연주하는 가락에 맞추어 춤추는 소년을 그린 것이다.
김홍도 특유의 원형 구도가 잘 살아 있고, 원형 구도 내에서도 춤추는 무동은
바깥쪽을 바라보도록 함으로써 파격을 유도하고 있다..
다른 풍속화에 비해 활달한 필선을 사용하여 음악 소리가 들리는 듯
춤 동작을 더욱 흥겹게 하고 있다.
김홍도(金弘道, 1745~?)의 단원풍속화첩 중 몇점을 소개하고자 한다.
보물 제 527호로 지정되어 있는 《단원풍속화첩》은
서당, 논갈이, 활쏘기, 씨름, 무동, 대장간, 나룻배, 주막, 빨래터, 길쌈등을 포함하여
모두 25점으로 이루어져있는데, 제목을 봐도 알 수 있듯, 각계층의 삶의 이모저모를
한국적 해학과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대체로 배경을 생략하고 등장인물들이 취하는 자세와 동작만으로 적절하게 화면을 구성한 것이
특징으로, 하나하나가 평범한 삶의 모습이되 화가의 따뜻한 시선과 예리한 시각에 의한 순간 포착은
이를 볼거리로 부각시켜 그림이 그려진 사회분위기를 잘 전하고 있다.
================
* 무동 (각 27cm x 22.7cm)
종이에 담채로 그린 것으로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이 그림은 둘러앉은 악사들과 이들이 연주하는 가락에 맞추어 춤추는 소년을 그린 것이다.
김홍도 특유의 원형 구도가 잘 살아 있고, 원형 구도 내에서도 춤추는 무동은
바깥쪽을 바라보도록 함으로써 파격을 유도하고 있다..
다른 풍속화에 비해 활달한 필선을 사용하여 음악 소리가 들리는 듯
춤 동작을 더욱 흥겹게 하고 있다.
'민속문양 [民俗紋樣]'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속도> 신윤복의 -월하정인- (0) | 2004.11.24 |
---|---|
<풍속도> -타작도- (0) | 2004.09.15 |
<風俗圖> -舞童- (0) | 2004.08.03 |
화려한 색의 마술, 단청 (0) | 2004.05.28 |
華麗なる色彩の魔術, 丹靑 (0) | 200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