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サンジンの我が絵内の樹木読み] [9] (躑躅下の春遊び)   -   번역 [飜譯]/韓日飜譯 [한일번역]

サンジン慶北大名誉教授

 高名方達がうららかなしむために芸者れて春迎行事いた. 巨大がそのままにじみている山裾. ではソウル付近等中部地方しくない花崗巖岩山背景. 左側傾斜黑靑色稜線って大小樹木いてある. 広葉樹っぱが季節だけに常葉樹であるしたのだ. 岩山溪谷右側山麓にはかなり躑躅数木っている. のみ満開はつぼみをんでいる. ただいまんにいている. 賞春野興という題目野外景色しむとの意味. 蕙園申潤福惠園傳神帖せてあるつだ.

 からたのをらせてくれる多花には華奢躑躅けない. 季節では陽曆4月 初頃三月三日前後. この頃百姓達外出チヂミをいてべる風俗もあったが, 高官達はこのように芸者んで春遊びをしんでいる. 畫家のまた意圖垣間見られる. 薄桃色躑躅とほとんど. 薄赤くてきれいにえたらみたいに綺麗だと. 桃花色とも女性的魅力充滿だとの意味. 画家躑躅芸者える春情せてあげようとのことだ. これを强調しようとの躑躅花色をより濃密した. この酒邪巨杯, 年少踏靑等芸者登場する申潤福風俗畵には躑躅がよくかれている.

  には築台んで四角った. 四角った天圓地方思想から起源したのだ. このようながある程度なら此所両班家後園とか權力者別莊である可能性. 二名芸者左右っている堂上品階高官達今日春遊びの主人公. っている右側二人隨行員樂工三名演奏大琴奚琴及調律している. 石築ってって使いをする女人高官達っている. 食膳上飮食簡便である. 酒一本杯一, さな全部. 準備すぐ本格的春遊びがまる直前簡単酒案床でまず口直をしようとのようだ.   <オピニオン [朝鮮日報]>

[박상진의 우리그림 속 나무 읽기] [9] 진달래꽃 아래 봄놀이 :  박상진 경북대 명예교수 입력 2021.04.02

지체 높은 분들이 화창한 봄날을 즐기기 위하여 기생을 데리고 봄맞이 행사를 벌였다. 커다란 바위 덩어리가 그대로 드러나 있는 산자락이다. 바위의 생김새로는 서울 부근 등 중부지방에 흔한 화강암 바위산이 배경이다. 왼쪽 산은 경사가 급하고 거친 흑청색의 능선을 따라 크고 작은 나무가 그려져 있다. 활엽수의 잎이 피기 전의 계절이므로 늘푸른잎나무인 소나무를 나타낸 것이다바위산의 계곡과 오른쪽 산자락에는 제법 굵은 진달래 몇 그루가 자리를 잡았다. 위쪽 가지만 꽃이 활짝 피었고 아래 가지는 꽃봉오리를 머금고 있다. 이제 한창 꽃이 피고 있는 중이다. 상춘야흥(賞春野興)이란 그림 제목은 야외에서 봄 경치를 즐긴다는 뜻이다. 혜원 신윤복의 혜원전신첩에 들어있는 그림 중 하나이다.

 예부터 봄이 왔음을 알려주는 여러 꽃 중에는 화사한 진달래꽃도 빠지지 않는다. 계절로는 양력 4월 초쯤에 해당하는 삼월삼짇날 전후이다. 이때쯤 백성들은 봄나들이를 나가 꽃전을 부쳐 먹는 풍속도 있었지만, 고관들은 이렇게 기생을 불러 봄놀이를 즐기고 있다화가의 또 다른 의도도 엿보인다. 연분홍으로 피는 진달래꽃은 복숭아꽃과 거의 같은 색이다. 여자의 볼이 발그스레하여 아름답게 보이면 복사꽃처럼 예쁘다고 한다. 도화색이라고도 하며 여성적 매력이 충만하다는 뜻이다. 화가는 진달래꽃으로 봄을 나타내고 기생과 함께 흥을 돋우는 춘정(春情)을 보여 주려 한 것이다. 이를 강조하려는 듯 진달래꽃 색깔을 더욱 진하게 나타냈다. 이 그림을 비롯하여 주사거배, 연소답청 등 기생이 등장하는 신윤복의 풍속화에는 진달래꽃이 흔히 그려져 있다.

 아래로는 축대를 쌓아 네모난 연못을 만들었다.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천원지방(天圓地方) 사상에서 기원한 것이다. 이런 연못이 있을 정도이면 이곳은 양반가의 후원이거나 권력자의 별장일 가능성이 높다. 두 기생의 좌우에 앉은 당상의 품계를 가진 고관들이 오늘 봄놀이의 주인공이다. 서 있는 오른쪽의 두 사람은 수행원이며 악공 셋은 연주를 위하여 각각 대금과 해금 및 거문고를 조율하고 있다. 연못의 석축을 따라 술상을 들고 심부름하는 여인이 고관들 앞으로 가고 있다. 소반 위 음식은 단출하다. 술 한 병과 잔 하나, 작은 안주 그릇이 전부이다. 준비가 끝나고 곧 본격적인 봄놀이가 시작되기 직전에 간단한 주안상으로 먼저 입가심을 하려는 것 같다.   <오피니언>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