京鄕新聞[餘滴]&[社說] 경향신문[여적]과 [사설]   -   일반상식 [一般常識]

[餘滴] 街道嫌韓 - ジュングン論說委員  [ 2016.10.13]

韓国人近付日本人初印象物静かさだ. 他人迷惑をかけまいとする迷惑意識影響きい. しかし国民性個人性格差ほどきくないといった言葉ある定型化された印象日本人全てを理解するのはしくない. 外向行動心中いわば建前本音区別出来なくとも彼等めるとかてることではない. 日本人韓国人してじくじるからである.

今月日本大阪嫌韓行爲相次いでこっている. 韓国人にわさびをうんとけた寿司えたのはわさびテロとのしゃれでませるぐらいだった. あるバス会社キムチョン朝鮮人のように韓国人卑下する言葉)印刷したバスった職員單純ちとの解明れればむことだった. 関西空港運行する電車乘務員、「外国人乘客っていて不便でございましょうとの案內放送べたをかしげただけで雰囲気だった. 仁川空港よりソウル空港鉄道きく外国人達敏感韓国人るからだ. けれども昨日大阪日本靑年達家族一緒いていた韓国男学生ったのはちょっとえてみるべきなの.

大阪には韓国人町っている. のどの地域より韓国する理解都市である. そのような韓国人する憎惡又嫌惡行動こったのはただではない. 釜山チョッパリ(下駄をはくことからわれた卑称印刷されたバスチケットを日本人ったようななので普通嫌韓感情ではなかろうごく少数だとっていた嫌韓雰圍気街道でまで表出するのではないか心配先立 

 

[여적] 거리로 나선 혐한 - 이중근 논설위원 [2016.10.13]

한국인에게 다가오는 일본인의 첫인상은 조용함이다.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으려는 메이와쿠(迷惑)’ 의식의 영향이 크다. 하지만 국민성의 차이가 개인 간 성격차만큼 크지 않다는 말이 있듯 정형화된 인상만으로 일본인을 다 이해하기는 어렵다. 바깥 행동과 속마음이 다른, 소위 다테마에(建前)와 혼네(本音)를 구분하지 못해도 그들을 탓하거나 억울해할 일이 못된다. 일본인들도 한국인을 향해 똑같이 느끼기 때문이다.

이달 들어 일본 오사카에서 혐한(嫌韓) 행위가 잇따라 벌어지고 있다. 한국인 손님들에게 고추냉이를 듬뿍 바른 초밥을 준 일은 와사비 테러라는 익살로 넘길 만했다. 한 버스회사가 김총(キム チョン·조센진처럼 한국인을 비하하는 말)’이라고 인쇄한 버스표를 팔았을 때도 직원의 단순 실수라는 해명을 받아들이면 그만이었다. 간사이공항을 운행하는 전철의 승무원이 외국인 승객이 많이 타 불편을 드리고 있다는 안내방송을 했을 때도 고개를 갸우뚱했지만 지나칠 분위기였다. 인천공항에서 서울역으로 향하는 공항철도 안에서 크게 떠드는 외국인들에게 민감한 한국인들도 있으니까. 그러나 어제 오사카에서 일본 청년 둘이 가족과 함께 길을 가던 한국인 남학생을 발로 걷어찬 것은 좀 생각해 볼 일이다.

오사카는 아직도 한인거리가 남아 있는, 다른 어떤 지역보다 한국에 대한 이해가 높은 도시다. 이런 곳에서 한국인에 대한 증오 내지 혐오 행동이 나온 것은 예사롭지 않다. 부산에서 쪽발이라고 인쇄된 버스표를 일본인에게 판 격이니 보통 혐한 감정은 아니다. 극소수의 일로만 알았던 혐한 분위기가 거리에서 표출되는 게 아닌가 하는 걱정이 앞선다

 

[社說] ノーベル生理医学賞大隅敎授一筋熱情支持する [201610日]

自家飽食(autophagy)とは細胞內老廃物淸掃して非常時にエネルギーを再活用する現象言葉である細胞內不必要るとか營養分不足になるとか外部より微生物侵入した細胞自生存のために內部蛋白質再活用する免疫現狀である万一自家飽食異狀われると老廃物れてとか癡呆のようなになることがあるのだとても有用老廃物再活用システムであるけれども細胞內塵場名付けたためかきく注目されなかった

大隅良典東京工業大学名誉敎授1970から見向きしなかったこの分野穿鑿した1988細胞內小気管から自家飽食現狀顯微鏡観察した38000餘種突然変異酵母をいちいち檢査したその結果自家飽食即発する14遺傳子最初糾明この功勞2016ノーベル生理医学賞受賞者選定されたのだそのせいで去年だけで5000餘編論文たほど自家飽食人氣硏究分野になった大隅氏もやらなかった分野競爭無しで開拓するのがしい2014のノーベル物理学賞受賞者である中村修二氏もまた、「地方出身地方大学卒業地方企業でやりたい硏究けていたらノーベルったった各分野23のノーベル賞受賞者輩出した日本底力えよう日本政府果敢投資硏究者達熱情ましたなお中性微子・ニュートリノ発見用として1000m地下超大型観測裝備えてあげたそのおかげで梶田隆章東京大名譽敎授去年ノーベル物理学賞けた

大隅氏のノーベル賞受賞についての韓国與論ましさや嫉視自嘆要約されそうだすでに国内総生産(GDP)対比硏究開發投資費用世界1なのにどうして成果せないのかとのてもあるしかしノーベル速成及注入式敎育人氣職業する競爭などでけられるではない日本19世紀末から投資した基礎科学結実んでいるのだ政府硏究主導短期間成果執着しなかった。「韓国科学硏究必要性ろうとしているといった国際科学学術誌ネイチャー指摘みしめること。「役立科学という言葉数年後企業化可能同義語になったのが問題べた大隅敎授警告れておくべきだろう

 

[사설]노벨 생리의학상 오스미 교수의 외길과 열정을 지지한다  [201610일]

자가포식(autophagy)’은 세포 내 노폐물을 청소하고 비상시 에너지를 재활용하는 현상을 일컫는다. 세포 내 불필요한 찌꺼기가 쌓이거나 영양분이 부족하거나 외부에서 미생물이 침입했을 때 세포 스스로 생존을 위해 내부 단백질을 재활용하는 면역현상이다. 만약 자가포식에 이상이 생기면 노폐물이 넘쳐 암이나 치매 같은 병을 일으킬 수 있다. 매우 유용한 노폐물 재활용 시스템이지만 세포 내 쓰레기장으로 치부된 탓인지 크게 주목을 끌지 못했다.

오스미 요시노리(大隅良典) 도쿄공업대 명예교수는 1970년대부터 남들은 거들떠보지도 않은 이 분야에 천착했다. 1988년 세포 내 소기관에서 자가포식 현상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이후 38000여종의 돌연변이 효모를 일일이 검사했다. 그 결과 자가포식을 촉발하는 14종의 유전자를 처음으로 규명했고, 이 공로로 2016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덕분에 지난해만 5000여 편의 논문이 나왔을 정도로 자가포식은 인기 있는 연구분야가 됐다. 오스미는 아무도 하지 않는 분야를 경쟁 없이 개척하는 편이 즐겁다고 했다. 2014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나카무라 슈지(中村修二) 역시 지방 출신으로 지방대를 졸업하고 지방기업에서 하고 싶은 연구를 계속했더니 노벨상을 주더라고 했다. 각 분야 23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일본의 저력이라 할 수 있다. 일본 정부의 과감한 투자도 연구자들의 열정을 북돋워줬다. 예컨대 중성미자의 발견을 위해 1000m 지하에 초대형 관측장비를 마련해줬다. 덕분에 가지타 다카아키(梶田隆章) 도쿄대 명예교수가 지난해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오스미의 노벨상 수상을 접한 한국 여론은 부러움, 질시, 자탄으로 요약되는 것 같다. 이미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 투자비용이 세계 1위인데 왜 성과를 내지 못하느냐는 채근도 있다. 그러나 노벨상은 속성 및 주입식 교육, 인기직업에 대한 쏠림, 경쟁으로 얻을 수 있는 과실이 아니다. 일본은 19세기 말부터 투자한 기초과학의 결실을 따고 있는 것이다. 정부가 연구를 주도하고 단기간 성과에 집착하지 않았다. “한국은 돈으로 과학 연구의 필요성을 깨닫고자 한다는 국제과학학술지 네이처의 지적을 새겨야 한다. “‘도움 되는 과학이라는 말이 몇 년 후 기업화가 가능하다는 말과 동의어가 된 것이 문제라는 오스미 교수의 경고도 가슴 깊이 담아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