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寶第71號: 東國正韻 卷一, 六 동국정운 권1, 6   -   민속문양 [民俗紋樣]

國寶第71東國正韻 卷一,

所在地: ソウル城北區城北路102-11, 澗松美術館

時代: 朝鮮

 

朝鮮世宗時代 申叔舟, 崔恒, 朴彭年じられて編纂世宗30(1448)

刊行されたわが国最初標準音する, 66からなる活字本である.

中國する洪武正韻対比するもので, ‘東國正韻とはわがしい

という意味.

当時混乱していたわが漢字音して統一された標準音めようとの目的

編纂, 刊行された. この世宗29(1447) 9完成され刊行命令

翌年世宗30(1448)11成均館, 師父学堂普及された. 現在この

6卷中16のみっている. 內容ると本文大文字木活字

小文字序文大文字甲寅字からなっている

このはわが最初漢字音をわが表記したという意義

國語硏究資料としての重要性訓民正音双璧をなす程高評價されている

漢字音音韻体系硏究だけでなく, 訓民正音文字った背景音韻體系

硏究においても基本資料となる.

 

국보제71: 동국정운 권1, 6(東國正韻 卷一, )

소재지: 서울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시대: 조선시대

 

조선 세종 때 신숙주, 최항, 박팽년 등이 왕의 명으로 편찬하여 세종 30(1448)

간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표준음에 관한 책으로, 66책이며, 활자본이다.

중국의 운()에 관한 책인 홍무정운에 대비되는 것으로, ‘동국정운이란

우리나라의 바른 음이라는 뜻이다.

당시 혼란스럽던 우리나라의 한자음을 바로잡아 통일된 표준음을 정하려는 목적으로

편찬, 간행되었다. 이 책은 세종 29(1447) 9월에 완성되자 간행하라는 임금의 명이

있었고, 이듬해인 세종 30(1448) 11월에 성균관, 사부학당 등에 보급되어, 이 책이

간행되고 보급되었던 시기를 알수 있다.

현재 이 책은 전 6권 가운데 1권과 6권만이 남아있다. 내용을 보면 본문의 큰 글자는

나무활자이고, 작은 글자와 서문의 큰 글자는 갑인자이다. 글자체는 큰 글자가

진양대군의 글씨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한자음을 우리의 음으로 표기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국어연구자료로서의 중요성도훈민정음과 쌍벽을 이룰 정도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또한 한자음의 음운체계 연구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훈민정음의

글자를 만든 배경이나 음운체계 연구에 있어서 기본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