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대한 토막상식 -3-   -   번역 [飜譯]/일한번역 [日韓飜譯]

* 전화를 걸 때 왜 일본인들은 "모시모시(もしもし)" 그럴까요?
전화를 걸 때, 대부분의 일본인은 "모시모시, ××입니다" 라고 모시모시로 말을 시작합니다.
더러는 "난데" "저예요"라고 곧바로 자기를 나타내는 사람도 있는데, 수화기 저쪽에서 당황한 상대가
"네? 누구요?"라고 되물으면 역시 "모시모시, 나요, 나라니까"하고맙니다.

이 모시모시는 "지금부터 말을 할께요"라는 뜻을 담아
"모오시마스(申します), 모오시마스" 하던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차츰 그 말이 불편하다고 느껴 모시모시로 생략해서 쓰게 되었다고 합니다.
"모오스(申す) 모오스"가 변한 것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참고로, 흔히 모시모시는 전화와 함께 생긴 말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실은 전화가 개통된 초기에는 모시모시가 아닌 "오이오이(オイオイ)"였답니다. 무척이나 건방진 말투였다는 느낌이 드는데, 그 당시 전화를 소유한 사람은 고급 관리나 실업가등 말하자면 잘난 사람들뿐이었으므로 어떻게 보면 당연한 노릇이었겠죠.
이 "오이오이"에 대한 상대방의 응답은 "하이, 요오고잔스(ハイ, ヨウゴザンス)"였습니다.
이 "오이오이" "하이, 요오고잔스"가 언제부터 "모시모시"로 변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습니다.

* 편지의 "拜啓" "敬具"의 기원은...?
개인적인 편지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공.상용문에서는 지금도 정해진 편지문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른바, "拜啓"와 같은 서두문과, 상대방과 자신의 상황을 말하는 앞부분, 그리고 앞부분과 비슷한 마지막 인사말을 붙인 뒤 머리문에 대응하는 "敬具"등으로 매듭을 짓는 형식입니다.
이런 앞 뒤에 붙이는 딱딱한 구식 문구는 중국에서 건너온 것으로서 문사(文士)들의 서한문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拜啓"는 拜가 절이고 啓가 말하다, 그러니까 삼가 아뢰옵니다, 라는 뜻입니다.
"拜啓"에 대응하는 매듭말이 "敬具".
"具"는 따르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전국시대 무사들의 具足(ぐそく)도 여기서 나온 말임),
"敬具"라고 하면 말한다는 뜻을 강조하여 삼가 아뢰었습니다, 라고 말을 맺는 꼴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