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생각은....? - 번역 [飜譯]/일한번역 [日韓飜譯]
이노우에히사시(井上ひさし)라는 작가가 쓴 수필집(私家版 日本語文法)을 읽다가 느끼는 점 있어 이곳에 올립니다.
젊은 사람들은 이상하게 여길는지 모르겠지만 난 한문이 하나도 섞이지 않은 한글만의 문장에 아직도 익숙치 못하답니다. 한자에서 비롯된 단어에는 같은 발음인 것이 많기 때문에 앞 뒤 글을 확인한 다음 아아 그 말은 그뜻이구나, 이렇게 되는 수가 적지 않다는 것이죠^^
그런 의미에서.....(?) 아무튼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전략)
다케다(竹田)씨의 투서 가운데 [수효도 많고 형태도 복잡한 한자를 배우기 위해 초,중학생이 얼마나 귀중한 시간을 허비하고 있는가, 여러 외국에 비해 좀 과장해서 말하자면 국가적 손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라는 대목은, 한자 제한론자나 철폐론자들의 상투어로서, 지금까지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온 대사인데, 사실 이처럼 바보스런 말이 어디 있는가. (중략)
그 바탕을 어머니 무릎 위에서 젖을 문 채 익히고,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 어울리면서 바탕에 살을 붙였으며, 세상의 찬바람 더운 바람을 맞으면서 살찌우고, 구사하고, 달련시켰으며, 나아가서 내 아이에게 전달해주어야 할 우리말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인 만큼, 이를 배우기 위해 우리는 귀중한 시간을 쪼개어 쓰고 있는 것이다.
그들의 이치는 그야말로 물구나무를 서고 있다.
우리는 중학교에 들어가면 영어라는 것을 배운다. 예를들어 [신영화중사전(新英和中辭典)]을 훑어보면 [중학기본어휘]에 별표가 2개 붙어있는데, 그 수가 2,804개나 된다. 고교기본어휘는 6,404개다.
또한 대학에 들어가면 일부 학생은 프랑스어를 배운다. [크라운불화사전(クラウン佛和辭典)]에서는 4,400개를 기본 단어로 정해놓고 마찬가지로 별표를 달아놓았다.
가령 여기에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영어를, 대학에서 프랑스어를 공부한 남자가 있다고 치자. 그럼 그는 1만개 이상의 영어 불어 단어를 외웠을 (혹은 외우려 애썼을) 것이다. 대학에 진학하지 않았다고 해도 그는 6,7천개의 영어단어를 뇌벽에 박아 넣고자 (혹은 박아 넣고자 해도 잘 되지 않아) 무진 애를 썼을 것이다.
5천개를 넘는 이국 단어에 대한 쓰기, 발음, 뜻을 공부하고자 애쓰면서, 자신의 모국어 가운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는 3천개도 무리라니, 도무지 이해를 할 수 없다.
젊은 사람들은 이상하게 여길는지 모르겠지만 난 한문이 하나도 섞이지 않은 한글만의 문장에 아직도 익숙치 못하답니다. 한자에서 비롯된 단어에는 같은 발음인 것이 많기 때문에 앞 뒤 글을 확인한 다음 아아 그 말은 그뜻이구나, 이렇게 되는 수가 적지 않다는 것이죠^^
그런 의미에서.....(?) 아무튼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전략)
다케다(竹田)씨의 투서 가운데 [수효도 많고 형태도 복잡한 한자를 배우기 위해 초,중학생이 얼마나 귀중한 시간을 허비하고 있는가, 여러 외국에 비해 좀 과장해서 말하자면 국가적 손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라는 대목은, 한자 제한론자나 철폐론자들의 상투어로서, 지금까지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온 대사인데, 사실 이처럼 바보스런 말이 어디 있는가. (중략)
그 바탕을 어머니 무릎 위에서 젖을 문 채 익히고, 가족과 친구들과 함께 어울리면서 바탕에 살을 붙였으며, 세상의 찬바람 더운 바람을 맞으면서 살찌우고, 구사하고, 달련시켰으며, 나아가서 내 아이에게 전달해주어야 할 우리말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인 만큼, 이를 배우기 위해 우리는 귀중한 시간을 쪼개어 쓰고 있는 것이다.
그들의 이치는 그야말로 물구나무를 서고 있다.
우리는 중학교에 들어가면 영어라는 것을 배운다. 예를들어 [신영화중사전(新英和中辭典)]을 훑어보면 [중학기본어휘]에 별표가 2개 붙어있는데, 그 수가 2,804개나 된다. 고교기본어휘는 6,404개다.
또한 대학에 들어가면 일부 학생은 프랑스어를 배운다. [크라운불화사전(クラウン佛和辭典)]에서는 4,400개를 기본 단어로 정해놓고 마찬가지로 별표를 달아놓았다.
가령 여기에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영어를, 대학에서 프랑스어를 공부한 남자가 있다고 치자. 그럼 그는 1만개 이상의 영어 불어 단어를 외웠을 (혹은 외우려 애썼을) 것이다. 대학에 진학하지 않았다고 해도 그는 6,7천개의 영어단어를 뇌벽에 박아 넣고자 (혹은 박아 넣고자 해도 잘 되지 않아) 무진 애를 썼을 것이다.
5천개를 넘는 이국 단어에 대한 쓰기, 발음, 뜻을 공부하고자 애쓰면서, 자신의 모국어 가운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는 3천개도 무리라니, 도무지 이해를 할 수 없다.
'번역 [飜譯] > 일한번역 [日韓飜譯]'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캘거리에서 클라이스트처치까지 -스기모토다케시 저- (0) | 2003.05.28 |
---|---|
일본에 대한 토막상식 -5- <스모(相撲)> (4) | 2003.05.10 |
일본에 대한 토막상식 -4- (0) | 2003.04.23 |
프라하에서 비엔나로 -음악여행(3)- (0) | 2003.04.23 |
프라하에서 비엔나로 -음악여행(2)- (0) | 2003.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