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寶75號: 表忠寺靑銅銀入絲香垸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   -   민속문양 [民俗紋樣]

 

國寶第75: 表忠寺靑銅銀入絲香垸

所在地: 慶尙南道密陽市丹場面, 表忠寺內

時代: 高麗

 

高麗19代明宗7(1177)制作された香爐, 表忠寺保管している.

1957發見された現存する最古香爐, 鉢型本体臺座がっている.

靑銅作りの香爐銀糸れる方式制作された, 高麗時代香爐典型的

高坏形態である.

香爐には57かれていて制作年代把握できる貴重遺品となる.

制作年月日, 發願, 發願者, 重量記錄され, 名稱含銀香垸となっている.

なお, 内側には昌寧北面龍興寺まれていて, 元来この香垸があった

昌寧龍興寺だったことがわかる.

香爐前面にはサンクリスト6まれている. いつ表忠寺られたかはかでないが

李朝宣祖四溟大師下賜したものとらされている. 27.5cm, 口徑26.1cm.

1963年頃まで總務僧さな木箱れて保管したが, その,表忠寺境內表忠寺

護國博物館保管されている. この香爐傳來品保存狀態良好といえよう.

 

국보 제75: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

소재지: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 내

시대: 고려

 

표충사에 있는 향로로 고려 19대 명종 7(1177)에 제작되었다.

1957년에 처음 발견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향로로 주발 모양의 몸체와 둥근 받침의

대좌(臺座)로 연결되어 있다. 이 향로는, 청동으로 만들어진 향로에 가는 은실을 새겨

넣는 방법으로 제작 되었으며, 외형은 굽다리접시 형태로 고려시대 향로의 전형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이 향로는 57자의 명문으로 제작 연대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유품이다. 명문에는

제작년월일, 발원, 발원자, 중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명칭은 함은향완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받침 안쪽 면에는 '창녕북면용흥사(昌寧北面龍興寺)'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원래 이 향완이 있었던 곳이 창녕의 용흥사였음을 알 수 있다.

향롯전에는 산스크리트어 6자가 새겨져 있다. 언제 표충사에 옮겨지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선조가 사명대사에게 하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높이는 27.5cm, 구경은 26.1cm이다.

1963년 경에는 총무 스님 오한성 씨가 작은 나무상자에 넣어 보관하고 있었으나,

그 후 표충사 경내의 표충사호국박물관으로 옮겨져 보관되고 있다. 이 향로는

전래품(傳來品)으로서 보존 상태가 좋다.